이것은 흔히 볼 수 있는 잘못된 인식이다.
병원학, 림상증상, 전염성 및 위험성 측면에서 독감과 일반감기는 완전히 다른 두가지 질병이다.
감기는 주로 라이노바이러스 등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상기도에 국한되여있다. 이는 코물, 가벼운 발열, 기침 및 간헐적인 인후통으로 나타나며 일종의 ‘자가제한성’ 바이러스감염으로 합병증을 일으킬 위험이 비교적 낮고 사망률도 매우 낮다.
독감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례를 들어 H1N1, H3N2 등)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전염병으로 고열, 두통, 전신 통증, 피로 등 전신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심지어 바이러스성 페염이나 2차 세균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심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2009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된 신종 인플루엔자H1N1는 전 세계적인 대류행을 일으켰으며 조류인플루엔자(H5N1, H7N9)는 치사률이 70%에 달할 정도로 높았다.
또한 독감은 명확한 계절적 류행의 정점을 가지고 있는바 전파속도가 빠르고 바이러스변이가 빈번하여 백신예방과 오셀타미비르와 같은 항바이러스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감기는 1년 내내 볼 수 있으며 병세가 비교적 가벼워 지지료법을 통해 저절로 낫는 경우가 많고 백신으로 예방할 필요도 없다.
겉보기에는 독감과 감기가 기침, 인후통 등 증상을 동반할 수 있지만 본질적으로 감기는 ‘작은 병으로 저절로 낫는 것’이며 독감은 ‘잠재적인 중증 질환’이다. 바로 이러한 ‘비슷하지만 같지 않은’ 특성 때문에 대중이 오판하기 쉽고 그로 인해 치료가 지연되거나 항생제가 람용되여 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독감을 ‘좀 심한 감기’로 여기지 말고 충분히 신경써야 한다. 지속적인 고열, 뚜렷한 피로, 호흡곤란 등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가서 합병증위험을 방지해야 한다. 독감을 옳바르게 리해하는 것은 류행을 방지하고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보호하는 중요한 전제조건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