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러에도 '3색 정신'은 꺼지지 않는다
[ 2015년 11월 16일 07시 33분   조회:9527 ]

14일 프랑스 파리의 공화국 광장 조각상 주위엔 초와 꽃다발, 글귀가 자리했다. 전날 밤 9시20분부터 이날 0시20분까지 8곳에서 벌어진 ‘이슬람국가(IS)’의 테러로 129명(한국시간 15일 오후 11시 현재)이 숨진 걸 추모해서다. 프랑스로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악의 테러였다.

 ‘스타드 드 프랑스’ 축구경기장을 빼곤 모두 공화국 광장 인근에서 벌어졌다. 시민들이 광장을 찾는 이유다. ‘Innocent(무고하다)’ ‘Pray For Paris(파리를 위한 기도)’란 글귀가 보였다. “테러 이후 우린 더 강해질 것이다. 공포는 없다”는 손 글씨도 보였다. 평화를 상징하는 심벌의 안이 에펠탑으로 바뀌었다.

 ‘흔들릴지언정 침몰하지 않는다(Fluctuat nec Mergitur)’. 중세인 1358년부터 파리를 상징한 문장(紋章)으로 쓰였다. 중세 상인들의 이익집단인 한자동맹 소속 파리 상인들이 센강이 요동쳐도 파리라는 범선은 가라앉지 않고 꿋꿋이 항해할 것이라는 의지를 담아 이 문장을 썼다. 이게 자유·평등·박애란 근대 정신의 발상지인 공화국 광장 한쪽에 거대한 그라피티로 등장했다. 테러 후 그려진 것이라고 했다. 시대를 거슬러 올라갈 만큼 절박했던 것일까. 프랑스인들의 마음 풍경이 아렸다.

 파리의 밤을 밝히던 에펠탑은 이날 희생자를 추모하는 뜻에서 조명을 껐다. 하지만 뉴욕의 세계무역센터와 리우데자네이루의 예수상 등 전 세계 주요 상징물들은 삼색기의 불빛을 밝히며 프랑스의 자유·평등·박애의 정신을 이어나갔다.

 10개월 전 샤를리 에브도 테러의 흔적은 여전했다. ‘즈 쉬 샤를리(Je Suis Charlie, 나는 샤를리다)’도 남아 있었다. 당시엔 “리베르테(Libert<00E9>·자유)”의 열띤 함성이 광장을 삼켰다. 추가 테러를 우려한 듯 광장에 모인 군중은 샤를리 에브도 테러 때보다 크게 줄었다. 경찰이 수시로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 방송을 했다. 광장을 찾은 한 여성은 “우린 어제 공격을 받았다. 그러나 공포 속에 살긴 싫다. 함께라는 걸 보여주고 싶어 나왔다”고 말했다.

 바타클랑 극장은 광장에서 걸어서 10분 거리였다. 록 공연을 즐기던 89명이 목숨을 잃었다. 인근에 살던 르몽드 기자가 찍은 동영상엔 바닥에 쓰러진 사람들 위로 산 사람들이 달렸다. 생사는 이렇듯 절실했다.

 인근 본비에르 카페 주변엔 수십 개의 총탄 자국이 선연했다. 이곳에서 5명이 숨졌다. 열 살 남짓 아이가 쪼그리고 앉아선 초에 불이 꺼지면 곧바로 옆 초를 들어 불을 붙이길 반복하고 있었다. 뜨거울 텐데도 아랑곳없었다. 테러범의 살의와 아이의 사명감의 대비는 이질적이었으되 현실적이었다. 파리 시민 마리옹은 “내 도시를 보고, 내 거리를 보고, 내 사람들을 보며 살아 있다는 걸 느끼고 싶었다. 우린 싸울 것이다. 우리나라도 싸울 것”이라고 했다.

 다시 걸음을 옮긴 지 5분 남짓 르카리옹 바에 도착했다. 15명이 숨진 곳이다. 총알 구멍엔 꽃이 꽂혀 있었다. 동네 주민 쥘리에트는 “여긴 정말 특별할 게 없는 동네다. 그저 보통 사람들이 사는 데다. 아무런 상징성도 없다. 어디서나 일어났을 수도 있는 일이었다”고 말했다. 누구든 테러 대상일 수 있다는 불안감이었다. 쥘리에트는 “오늘 낮 누군가에게 담뱃불을 빌렸더니 ‘정말 미안합니다. 없어요. 미안해요’라고 하더라. 별일 아니었는데도 정말 미안해했다. ‘무슨 얘기냐 당신 잘못이 아니다’고 해줬다. 모두 죄의식을 느끼고 있다. 이상한 감정이다. 함께한다는 느낌이기도 하다”고 했다.

실제 공감과 연대를 체감할 순간들이 이어졌다. 당국의 헌혈 요청에 세 시간 줄을 서 피를 내어준 이가 많았다. 조한나 나자르는 “한 번도 헌혈한 적이 없었다. 그러나 이번엔 두 번 생각할 일도 아니었다”고 했다.

 IS는 14일 공식 인터넷 선전 매체에 올린 아랍어와 프랑스어로 된 성명에서 “8명의 형제가 십자군 프랑스의 수도를 공격했다”며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밝혔다.

 테러 직후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프랑스는 14일부터 사흘간을 희생자들을 위한 애도 기간으로 정하고 국가 안보 태세를 최상위급으로 올렸다. 국경 검문을 강화했고 학교와 에펠탑 등 주요 관광시설 등의 문을 닫았으며 스포츠 경기를 모두 취소했다. 추가 테러 우려에서다. 미국 연방수사국(FBI)도 파리에 요원을 파견해 테러 정보 수집에 나섰다.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라로저 코언은 14일 칼럼에서 “파리를 구하려면 IS를 물리쳐라. 인류의 이름으로 IS를 응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앙일보

파일 [ 12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8699
  • 2016년 10월 18일, 중국청년보의 보도에 의하면 9월 27일 광동성 광주시(广东省广州市)의 한 고속도로에서 선생님과 학생들을 태운 통학 버스에 갑자기 화재가 일어나 하마터면 큰 사고가 발생할뻔했다고 전했다. 다행히 승용차로 같은 방향을 향해 달리던 광동성 공안청 국경 수비 군인 3명이 이 모습을 목격하고&nbs...
  • 2016-10-19
  • 한 용감한 모델이 가파른 절벽의 꼭대기에서 화보를 찍어 화제로 되고 있다. 보라색의 긴 치마를 입고 절벽 꼭대기에서 아슬아슬하게 촬영에 임하고 있는 모델 Kristina Marie의 모습을 멀리서 보노라면 마치 한마리의 거대한 나비와도 같았다. 그녀의 아름다운 모습을 사진으로 감상해보자. / 텅쉰넷
  • 2016-10-19
  • 10월 18일 보도에 의하면 항주시(杭州) 도서관에서는 '류랑객'들이 도서관에 들어와 책보는것을 허락하였다고 전했다. 단 손을 깨끗이 씻은 다음 책을 빌려 볼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일부 시민들이  '류랑객'들이 도서관에 드나드는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이를 반대하기도 했다. 이에 해당 도서관...
  • 2016-10-19
  • [인민망 한국어판 10월 18일] 현지시간 10월 17일 태국은 10일간의 국왕 서거 애도 기간에 돌입했다. 태국 국민들은 검은색 옷을 꺼내 입기 시작했고 검은색 옷이 부족해지는 현상까지 발생했다. 현재 방콕의 왕궁 앞 길거리에서는 많은 지원자들이 현지 주민들의 옷을 검은색으로 염색해주고 있다. (번역: 은진호)  ...
  • 2016-10-19
  • 현지시간으로 2016년 10월 17일, 영국 세인트앤드루스(圣安德鲁斯)대학의 학생들은 신입생 환영의식으로 인해 환락의 도가니에 빠져들었다. 세인트앤드루스대학은 스코틀랜드(苏格兰)에서 제일 오래 된 대학으로 이번 신입생 맞이 환영의식인 “Raisin Monday”도 무려 600여년동안의 력사를 가지고 있다. 사...
  • 2016-10-18
  • [인민망 한국어판 10월 18일] 10월 15일 500마리가 넘는 강아지가 남경(南京) 포구(浦口) 수목대념(水墨大埝)에 모여 ‘제2회 FM 1011 강아지 미니 마라톤’ 대회에 참가했다. 강아지와 강아지 주인들은 3km 장거리 달리기를 실시했고 달리기 시합에 참가한 강아지들의 귀여운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번역: 은진...
  • 2016-10-18
  • 최근 일본 도쿄(日本东京)에서 젊은이들이 마스크를 쓰고 맞선을 보는것이 류행으로 번지고 있다. 맞선 참가자들은 상대방이 자신의 외모보다 성격을 먼저 봐주었으면 하는 의미에서 이런 맞선 방식을 선택하게 됐다고 전했다. 몇년전부터 일본의 젊은이들은 맞선 자리를 중요하게 여겼는데 이는 바로 자신들의&n...
  • 2016-10-18
  • [인민망 한국어판 10월 18일] 10월 16일 제11회 정주(鄭州) 국제 소림무술 축제가 숭산(嵩山) 소림사(少林寺)에서 개최됐다. 당일 11여 만 명의 무림 고수들은 중국 및 해외 관광객들을 위해 멋진 무술 공연을 선보였다. 금종조(金鐘罩), 철사장(鐵砂掌), 비첨주벽(飛檐走壁), 박타공(拍打功), 석쇄공(石鎖功), 팔단금(八段...
  • 2016-10-18
  • 2016년 10월 15일 보도에 의하면 미국의 한 가정집에서 어머니의 고의적 방화로 화재가 일어나 3명이 숨진 사건이 있었다. 아버지의 품에 안겨 겨우 목숨을 건진 녀자아이 Safyre Harris는 화재에 의해 온몸의 75%되는 부분에 화상을 입게 됐고 남은 인생동안 계속하여 치료를 받아야 된다. 이번 화재로 Saf...
  • 2016-10-17
  • 현지시간으로 2016년 10월 15일, 방글라데시(孟加拉国) 다카(达卡)에서 몸이 붙은채로 태어난 *샴쌍둥이가 탄생해 화제로 되고 있다. 안타깝게도 쌍둥이들은 태어나자마자 부모들의 버림을 받아 현재 다카의과 대학병원에 있는것으로 전해졌다. *샴쌍둥이는 일란성 쌍태아의 특이한 형태로, 수정란이 둘로 나...
  • 2016-10-17
  • [인민망 한국어판 10월 17일] 얼마 전, 상해 송강(松江) 광부림(廣富林)로에 ‘핑크빛 꽃바다’가 펼쳐졌다. 이 꽃바다의 정체는 핑크빛을 띤 풀로, 그 면적이 약 60묘(畝•중국 토지면적 단위: 1묘는 약 666.67㎡)에 달한다. 단독으로 보면 별 볼 일 없는 풀이지만, 모여 있는 것을 전체적으로 보면 마치 핑...
  • 2016-10-17
  • 2016년 10월 15일, 호남성 장가계시 자리현(湖南省张家界市慈利县)에 위치한 리수대교(澧水大桥) 교각 말뚝부분의 콩크리트가 떨어져 나가 심히 파손된 모습이다. 기자가 알아본데 의하면 리수대교를 건설하면서 든 비용은 모두 8729만원이며 2010년 9월 25일에 준공했다. 리수대교의 총 길이는 696m이고 넓이는 20.5m...
  • 2016-10-17
  • 중국이 10월 17일 7시 30분  7번째 유인 우주선 '신주(神舟) 11호'를 발사했다. 신주 11호는 이날 오전 7시 30분(현지시간) 중국 감숙(甘肅)성 주천(酒泉)위성발사센터에서 장정(長征) 2호 FY11 로켓에 탑재돼 우주 공간을 향해 날아갔다.  이 우주선에는 경해붕(景海鵬.50)과 진동(陳冬.38) 등 2명...
  • 2016-10-17
  • [인민망 한국어판 10월 14일] 흰머리가 가득한 71세 바이진친(白金芹) 할머니는 강한 근력을 가지고 있다. 할머니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샤오바이(小白)’라고 불러주는 것을 좋아한다. 샤오바이 할머니는 2005년부터 헬스를 시작했다. 11년간 헬스를 해온 할머니는 나이를 피할 수는 없었지만 아주 아름답고...
  • 2016-10-14
  • 서장시 라싸시 교외에 자리잡고있는 드레방사가 10월 12일 사원 창립 600주년을 맞아 경축행사를 가졌다. 1416년에 창립된 드레방사 사원은 면적이 25만평방메터에 달한다.중앙인민방송 
  • 2016-10-14
  • 사진으로 본 모태진. 아프가니스탄(阿富汗), 레바논(黎巴嫩) 등 중동지역에서 전쟁 사진 기자로 활약하면서 유명해진 미국 촬영기자 Kevin Frayer가  중국에 머무르면서 중국 대표 술 '모태' 생산지인 모태진을 찍은 사진이 화제로 되고 있다. / 중국망신문
  • 2016-10-14
  • 2016년 10월 13일, 이날 연변항공승무학교에는 반가운 손님이 찾아와 또 하나의 잊지못할 추억을 쌓았다. 그 손님들은 바로 연변부덕축구구락부 박성웅부총경리와 연변부덕축구팀 지무일선수, 최민선수였다. 이들은 연변항공승무학교 전체 사생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연변부덕축구구락부 부총경리 박성웅은 연...
  • 2016-10-13
  • 최근 광주(广州) 동풍로(东风路) 구간에 있는 고가도로와 구름다리 양측에 심은 부겐빌레아 글라브라 꽃이 만개하여 빌딩과 고가도로 사이에 색다른 꽃길이 생겼다. ‘꽃의 도시’라고 불리는 광주에 또 다른 풍경이 나타났다.   원문 출처:다양왕/광주일보
  • 2016-10-13
  • [인민망 한국어판 10월 13일] 아마 누구나 한 번쯤 “승무원들은 전용 휴게실이 따로 있겠지”라는 생각을 해 봤을 것이다. 알아본 결과 승무원들은 비행기 가장 위쪽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물론 승무원들의 휴게실은 모두 다르게 설계되어 있다. 일부 휴게실은 아주 간결하게 설계되어 있기도 하다...
  • 2016-10-13
포토뉴스 더보기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