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9월 2025 >>
 123456
78910111213
14151617181920
21222324252627
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시쓰는 "알파고", 소설쓰는 "알파고" 등장할수도 있다?...
2016년 03월 19일 06시 56분  조회:5220  추천:0  작성자: 죽림
서영인의 책탐책틈
러브 레플리카
윤이형 지음/문학동네 펴냄(2016)

 

알파고와 바둑기사 이세돌의 대결은 알파고의 4 대 1 승리로 끝났다. 인공지능 기술이 인간을 이기는 단계에 왔다는 자찬, 기술 지배의 미래에 대한 우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기하지 않는 의지와 정신은 인간의 것이라는 자족 등 반응이 엇갈렸다. 문학인들은 농담처럼 이제 시 쓰는 알파고, 소설 쓰는 알파고가 등장할 것이라고 으스스해하고 있다. 정말 그런 시대가 올지도 모르고, 전혀 불가능한 상상만은 아니다.

 

어릴 적 기억이지만, 그때 거의 모든 집에 바둑판이 있었다. 어째서 그렇게 바둑판이 흔했는지 모르겠다. 주로 남자 어른들이 마주 앉아 바둑을 두는 풍경도 흔했다. 한 시간이고 두 시간이고 꼼짝 않고 앉아 바둑을 두고, 이제 끝났나 싶으면 각자의 돌을 집어내고 다시 판을 시작했다. 어린 내가 보기에는 무료하고 지루하기 짝이 없는 시간이었다. 바둑을 전혀 모르지만 그것은 무료와 지루에 집중하는 시간이기도 했을 것이라고 짐작한다. 그리고 일상에서 바둑은 점점 사라져갔다. 바둑판 위에 그 터무니없이 긴 시간을 얹어 두기에는 우리는 너무 바빴고, 바둑은 너무 비생산적이었으니까. 승부와 경쟁의 이벤트로 되살아난 바둑의 풍경에는 그러나 무료와 지루의 시간, 비생산의 시간은 없다. 구글은 세기적 흥행의 주인공이 되었고, 그것으로 인류의 미래를 주도하는 기업 이미지를 굳히고 있다.

 

문학이 인공지능 로봇을 통해 하는 일은 전혀 다른 일이다. 산업기술이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을 더 빨리, 더 잘하기 위해 로봇을 만든다면, 문학은 인간이 할 수 없는 일, 혹은 간절히 하고자 하는 일을 로봇을 통해 말한다. 윤이형의 <러브 레플리카>에는 청년의 얼굴을 한 베이비시터 로봇 데니(‘데니’), 신체를 냉동시키고 신체의 정보를 로봇에 이식시킨 스파이디(‘굿바이’)가 등장한다.

 

데니는 아이를 잘 돌보기 위해 인간의 감정과 욕구를 정확히 읽어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기능을 통해 아무도 알아채지 못하는 타인의 고통과 슬픔을 읽는다. 올드타운에서 늙은 몸으로 손자를 돌보는 노인이 “울 만큼 힘들다는 것”을 데니만이 안다. 그리고 데니만이 그녀에게 손을 내밀고 말을 건다. 화성의 개발기지를 건설하는 스파이디들은 태양열 충전을 통해 다른 생명을 착취하지 않고 삶을 영위하며, 디지털신호로 전환된 전자뇌를 통해 타인과 교신한다.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서로 교신하여 마침내 “개별적인 인격을 잃지 않으면서 동시에 하나의 공동체로 존재하는 데 성공”한다. 가난과 노동에 지친 삶이, 그로 인해 마모된 감정들로 희구하는 인간의 꿈이 거기에 있다.

 

서영인 문학평론가
서영인 문학평론가
데니의 교신은, 스파이디의 공동체는 결국 실패한다. 그 실패에 더 많은 이야기가 있다. 불가능한 교신과 파열된 공동체의 삶을 견뎌야 하는 시간들에 대하여, 꿈꾸는 일이 살아가는 일과 결코 분리되지 않는 우리의 나날들에 대하여, 문학이 해야 할 말이 아직 많다. 속도와 경쟁의 기술개발이 자본의 꿈이라면 착취 없는 공감과 교유의 삶은 문학의 꿈이다. 돈이 많이 드는 과학기술은 아무래도 자본의 편일 것 같다. 그러나 자본과 기술의 언더그라운드에서 문학은 여전히 저기 다른 곳으로 가기 위한 로봇들을 개발 중이다.

 

서영인 문학평론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57 천재적인 건축가 비참하게 죽다... 2016-11-02 0 4845
556 100여년간 오로지 입장료와 모금으로만 짓고 있다니... 2016-11-02 0 5676
555 자기가 설계한 건축물 안에 묻히기까지... 2016-11-02 0 5734
554 인간이 만든 최고의 조형물 - 작품은 긴 시간의 결과물 2016-11-02 0 5116
553 가수는 청중이 들은것을 믿게 만들어야... 2016-11-01 1 5391
552 프랑스 문학계에서 가장 유명한 권총 2016-11-01 0 6209
551 [시문학소사전] - 상징주의란? 2016-11-01 0 6102
550 [시문학소사전] - 산문시란? 2016-11-01 0 6342
549 [려행] - "새 7대 불가사의" 2016-11-01 0 5442
548 [려행] - 석유를 팔아 세계 최고를 만들다... 2016-11-01 0 6221
547 [려행] - 한번 건너 보고싶은 대교 2016-11-01 0 5246
546 [쉼터] - 불교경전을 알아보다... 2016-11-01 0 7157
545 언어라도 "통일" 되였으면... 2016-11-01 0 5594
544 [쉼터] - 알아두면 좋은 말 78 2016-11-01 0 6625
543 민족의 성산 ㅡ 백두산 2016-11-01 0 6617
542 력대 노벨상을 거부한 사람은 무슨 리유?... 2016-10-31 0 4568
541 [쉼터] - 대만으로 가보고싶다... 2016-10-30 0 7643
540 고향시단소식 한토리 - 시가 물결과 함께 구겨지고 펴진다... 2016-10-30 0 6422
539 자기 자신만의 별을 따라가야 한다... 2016-10-29 0 4778
538 "록" 2016-10-29 0 4666
537 비영리적인 목적으로 시를 공유하는 활동에는 반대의견이 없다. 2016-10-28 0 4178
536 [쉼터] - 화투 48 2016-10-28 0 5171
535 로마 신화 전쟁의 신 - 마르스 2016-10-28 0 6839
534 그리스 신화 전쟁의 신 - 아레스 2016-10-28 0 7235
533 고향문화소식 ㅡ 꽃상여 나간다... 상사듸여, 상사듸여... 2016-10-26 0 4506
532 프랑스 철학자 해체주의자 - 데리다 2016-10-25 0 6662
531 [쉼터] - 커피라는 눔은 어떠한 놈팽이라구라... 2016-10-23 0 4942
530 [록색문학평화주의자]= 아무르 호랑이 = 백두산호랑이 2016-10-21 0 4655
529 [쉼터] - 올림픽과 년금 및 포상금 2016-10-20 0 4584
528 [쉼터] - 어원이 무서운 "도무지" 2016-10-20 0 4949
527 [취미] - 술, 술, 그리고 술 2016-10-20 0 5525
526 [취미] - 바둑 단수 2016-10-20 0 4505
525 날개 달린 "혀의 시인" - 책이여! 빠이빠이~... 2016-10-20 0 5250
524 ~&~&~ 2016-10-19 0 5430
523 ~@~@~ 2016-10-19 0 8177
522 "록", ㅡ미치광이가 머리속에 들어 있다... 2016-10-19 0 5415
521 먼 길을 왔고 가야 할 먼 길을 막 출발하다... 2016-10-19 0 4671
520 마음을 음악으로 표현하는 실험은 그치지 않았다... 2016-10-19 1 6080
519 와인 한병, 재떨이, 그리고 물만 요청한 음유시인 2016-10-19 0 6756
518 "문학에 대한 경고!!!" ㅡ 노래가 곧 詩, 詩가 곧 노래 2016-10-19 0 5901
‹처음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