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작은 시작으로서의 "남다른 시작의 길"을 모색해야...
2016년 12월 12일 00시 51분  조회:2766  추천:0  작성자: 죽림

3부 시 창작법 및 창작기법 엿보기

 

1. 시 작

발상-제목 정하기-메모-산문-연 나누기-살 빼기-뒤집기와 단어 바꾸기-행 나누기-

제목 정하기-탈고

 

1) 발상

발상은 어떤 현상이나 어떤 이론 또는 어떤 물상을 보고 착상을 할 수 있다단 그 발상이 꼭 소재만 되는 것은 아니다그 발상의 내용에 따라 소재가 될 수도 있고 때로는 주제가 될 수도 있고 제목이 될 수도 있다.

 

이웃집 할머니가 파전을 부쳐가지고 왔다그 할머니는 유달리 정이 많다먹을 것만 생기면 나눠먹자고 나한테 갖다 준다혼자 사는 내가 뭘 먹고 사는지 걱정이 되었나보다할머니는 안경을 앤경이라 부른다.

안경을 앤경이라고 부르는 소리를 듣고 할머니의 정에 대한 착상을 하게 되었다.

 

2) 제목 정하기

시 창작에 있어서 제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히 크고 중요하다제목은 발상을 하고 바로 정하기도 하고 탈고를 앞두고 그때 정하기도 한다.

나는 할머니의 정에 대해 쓰기로 마음먹었기 때문에 제목을 일단 할머니의 정으로 정했다.

 

3) 메모

어떤 착상으로 발상을 하게 되면 그 발상에 대한 주제나 소재와 연관된 내용을 계속 메모해 나가야 한다그 메모 내용이 직접적으로 쓰고자 하는 시와 상관이 없어도 무방하다말이 되던 안 되든 어떤 내용이 건 간에 무조건 메모를 해나가야 한다메모가 많을수록 좋은 시가 나온다고 생각하면 된다.

 

메모

할머니는 정이 참 많다.

할머니는 뭐든 나눠먹기를 좋아한다.

할머니는 남 주기를 좋아해서 가진 것도 없을 거야.

할머니는 안경을 앤경이라 부른다.

할머니는 혼자 산다.

남 주는 것을 좋아하는 할머니혹시 할아버지도 남줘 버린 건 아닐까?

할머니는 내가 뭘 갖다드리면 꼭 보답으로 뭘 갖다 준다.

지팡이를 짚은 할머니는 세 발로 걷는다.

할머니는 욕심이 없다.

할머니 양말에 구멍이 났다.

할머니는 이가 두 개밖에 없다.

할머니가 없으면 심심해서 어떻게 살지?

인생은 60살부터라는데 80살이 다 된 할머니는 덤으로 사는 거다.

할머니는 뭐든지 못 줘서 안달이다.

할머니처럼 주는 걸 좋아하다간 남아나는 게 하나도 없겠다.

 

4) 산문 쓰기

할머니는 정이 참 많다먹을 것이든 뭐든 못 줘서 안달이다내가 뭘 갖다드리면 꼭 뭘 담아 오시지 빈 접시로 돌려준 적이 한 번도 없다할머니처럼 살다가는 남아 나는 게 하나도 없을 거다.

이가 두 개밖에 없는 할머니는 학교를 핵교라 부르고 안경을 앤경이라 부른다지팡이에 의지해 걸어 다니는 할머니는 다리 하나를 덤으로 얻었다고 좋아한다그래서 남한테 덤주기를 좋아하는 지도 모른다그런 할머니를 보며 나는 남에게 베푸는 마음을 배운다.

 

5) 연나누기

① 첫 번째 단계

할머니는 정이 참 많다먹을 것이든 뭐든 못 줘서 안달이다내가 뭘 갖다드리면 꼭 뭘 담아 오시지 빈 접시로 돌려준 적이 한 번도 없다할머니처럼 살다가는 남아 나는 게 하나도 없을 거다.

 

이가 두 개밖에 없는 할머니는 학교를 핵교라 부르고 안경을 앤경이라 부른다지팡이에 의지해 걸어 다니는 할머니는 다리 하나를 덤으로 얻었다고 좋아한다그래서 남한테 덤주기를 좋아하는 지도 모른다그런 할머니를 보며 나는 남에게 베푸는 마음을 배운다.

 

② 두 번째 단계

할머니는 정이 참 많다먹을 것이든 뭐든 못 줘서 안달이다

 

내가 뭘 갖다드리면 꼭 뭘 담아오시지 빈 접시로 돌려준 적이 한 번도 없다할머니처럼 살다가는 남아나는 게 하나도 없을 거다

 

이가 두 개밖에 없는 할머니는 학교를 핵교라 부르고 안경을 앤경이라 부른다지팡이에 의지해 걸어 다니는 할머니는 다리 하나를 덤으로 얻었다고 좋아한다그래서 남한테 덤주기를 좋아하는 지도 모른다

 

그런 할머니를 보며 나는 남에게 베푸는 마음을 배운다

 

6) 살 빼기

① 첫 번째 단계

할머니는 정이 참 많다먹을 것이든 뭐든 못 줘서 안달이다.

 

내가 뭘 갖다드리면 꼭 뭘 담아 오시지 빈 접시로 돌려준 적이 한 번도 없다 할머니처럼 살다가는 남아나는 게 하나도 없을 거다

 

이가 두 개밖에 없는 할머니는 학교를 핵교라 부르고 안경을 앤경이라 부른다

 

지팡이에 의지해 걸어 다니는 할머니는 다리 하나를 덤으로 얻었다고 좋아한다 그래서 남한테 덤 주기를 좋아하는 지도 모른다

 

그런 할머니를 보며 나는 남에게 베푸는 마음을 배운다

 

② 두 번째 단계

할머니는 정이 얼마나 많은지 말을 할 때도 덤을 준다

 

학교를 부를 때는 핵교라 부르며 덤 하나 더 주고 안경을 부를 때도 앤경이라 부르며 덤을 하나 더준다

 

지팡이에 의지해 걸어 다니는 할머니는 다리 하나를 덤으로 얻었다고 좋아한다그래서 남한테 덤 주기를 좋아하는 지도 모른다

 

③ 세 번째 단계

할머니는 인정이 얼마나 많은지 말만 들어봐도 금방 안다

 

학교를 부를 때는 핵교라 부르며 덤 하나 더 주고

 

안경을 앤경부를 때도 앤경이라 부르며 덤을 하나 더 준다

 

할머니는 먹을 것이든 뭐든 남한테 줄 때는 꼭 덤을 얹어준다

 

7) 뒤집기와 단어 바꾸기

① 첫 번째 단계

할머니의 인심이 얼마나 후한지는 말만 들어봐도 금방 안다

 

학교가 뭐야 정 없게 작대기 하나 더 그어서 핵교라고 해야지

 

안경이 뭐야 인심 사납게 작대기 하나 더 보태서 앤경이라 해야지

 

말이든 먹을 것이든 뭐든 남한테 줄 때는 꼭 덤을 하나 더 얹어 준다

 

② 두 번째 단계

할머니의 인심이 얼마나 후한지는 말만 들어봐도 금방 안다

 

안경이 뭐냐 인심 사납게 가래떡 하나 더 얹어 앤경이라 해야 좋아하지

 

학교가 뭐야 정 없게 작대기 하나 더 보태서 핵교라고 해야지

 

말이든 먹을 것이든 남 줄 때는 꼭 덤으로 하나 더 얹어 준다

 

8) 행 나누기

 

할머니의 인심이 얼마나

후한지는

말만 들어봐도 금방 안다

 

안경이 뭐냐 인심 사납게

가래떡 하나 더 얹어

앤경이라 해야 좋아하지

 

학교가 뭐야 정 없게

작대기 하나 더

보태서 핵교라고 해야지

 

말이든 먹을 것이든

남 줄 때는 꼭

덤으로 하나 더 얹어 준다

 

9) 제목 정하기

이 시는 할머니의 정을 주제로 나타냈기 때문에 제목을 그냥 할머니의 정으로 정했다.

 

10) 탈고

체크리스트에 준해서 탈고를 한다.

 

 

발상했다고 다 시로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버리지 말고 한쪽에 제쳐두었다가

나중에 다시 보면 전혀 새로운 구도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아래에서 게재한 여러편의 <시촌평>을 소야 신천희시인님의 <<똥시닷컴>>에서 출처했음을 밝힘, 감사 드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1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를 잘 지으려면?... 2017-02-08 0 3409
209 젓가락 두짝 = ㅣㅣ톡!.. ㅣ ㅣ톡!... 2017-02-08 0 2732
208 하늘 날던 새가 땅을 내려다보며 왈; ㅡ질서 공부 좀 해... 2017-02-08 0 2640
207 눈사람 왈; ㅡ느네집 따듯하니?... 2017-02-08 0 2482
206 역술(易術), 학술(學術), 의술(醫術), 시술(詩術), 저술(著術)... 2017-02-08 0 3747
205 시인은 시작에서 첫행을 어떻게 잘 쓸것인가를 늘 고민해야... 2017-02-08 0 3004
204 시의 제목에서도 이미지가 살아 있어야... 2017-02-08 0 2951
203 두보, 그는 두보, 두보인거야... 2017-02-08 0 4298
202 가난은 시로 가난을 못막는다?... 2017-02-08 0 4022
201 담시(談詩)란 서사시 범주에 속하는 이야기시이다... 2017-02-07 0 2787
200 패러디할 때 원작을 충분히 존중해야... 2017-02-07 0 3324
199 시의 제목을 무제(無題) 혹은 실제(失題)라고도 달수 있다... 2017-02-07 0 2831
198 시의 제목은 바로 시의 얼굴... 2017-02-07 0 3176
197 [이것이 알고싶다] - "아버지"와 "어머니" 유래 2017-02-05 0 3153
196 [이것이 알고싶다] - "~습니다"의 유래 2017-02-05 0 3138
195 시를 쓰는 사람은 많지만 시를 읽는 사람은 많을손가 많지않도다... 2017-02-05 0 3145
194 시는 벼락치듯 독자들을 전률시켜야... 2017-02-05 0 2986
193 109명 현역시인과 "최고의 시구"(2) 2017-02-05 0 3154
192 109명 현역시인과 "최고의 시구"(1) 2017-02-05 0 3193
191 시인에게시를 묻다... 2017-02-05 0 2799
190 좋은 시의 조건 10 2017-02-05 0 3164
189 "사랑하라 그러면 시는 써질지니..." 2017-02-05 1 2683
188 중국 唐代 녀류시인들 思夫曲 알아보다... 2017-02-05 0 3000
187 [자료] - 중국 현대시의 일단면 /이육사 2017-02-05 0 3854
186 "한반도의 반쪽 반도"의 현대시 문제점을 알아보다... 2017-02-05 0 2921
18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침묵" 명언모음 2017-02-05 0 3126
184 100명 詩民, 100년 詩人 노래하다... 2017-02-05 0 2887
183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덮혀"와 "덮여", "높히다"와 "높이다" 2017-02-04 0 3476
182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주락펴락"과 "쥐락펴락" 2017-02-04 0 2852
181 시는 아름답기만 해서는 모자라고 독자들의 령혼을 뜻대로 쥐락펴락 해나감과 동시에 독자들의 마음을 뒤흔들어야... 2017-02-04 0 2996
180 그 무슨 사건, 그 무슨 혁명, 그 무슨 전쟁과 詩는 싸워야... 2017-02-04 0 3083
179 [시문학소사전] - "판타지"란?... 2017-02-04 0 4370
178 동시의 상상력과 그리고 동시의 "판타지" 세계 2017-02-04 0 3205
177 시적 상상력으로 즐거움을 찾기... 2017-02-04 0 4229
176 시에서 아이디어를 얻을수 없다?... 있다!... 2017-02-04 0 2674
175 "립춘대길" = <봄맞이 시모음> 2017-02-04 0 2741
174 "동시집"을 돗자리로 깔고 "동시놀이" 알콩달콩 하자야... 2017-02-04 0 2718
173 쇠사슬은 노예의 령혼까지 묶어 놓는다... 2017-02-04 0 2924
172 시를 말하는 산문, 산문으로 된 시 2017-02-04 0 2453
171 모든 시관(詩觀)은 그 시인의 우주관에서 비롯된다... 2017-02-04 0 2696
‹처음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