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쉼터] - 작문써클선생님들께; 마구잡이로 쓰는 "~의 대하여"
2016년 12월 22일 18시 42분  조회:2598  추천:0  작성자: 죽림
럭비공답다. 일찌감치 샅바 매고 한판 붙자는 그분. 초장(初場)부터 기를 꺾어놓고 싶은가 보다. 앞으로 내내 씨름해야 할 맞수니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11일 "중국이 무역 등의 문제에서 우리와 협상하지 않는다면 미국이 왜 '하나의 중국' 원칙에 얽매여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 북핵과 무역 문제 등에서 중국이 협력하지 않으면 '하나의 중국' 원칙을 깰 수도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중국은 미국의 수중(水中) 드론 낚아채기로 맞섰다. 이 양강(兩强)의 전초전 결과 말고 궁금한 점이 또 있다. '하나의 중국'은 영어로 'one China(policy)'다. 우리말로는 '한 중국'이 옳지만 어색하다. 만약 넷으로 쪼개진 중국이라면? '넷의 중국'보다 '네 중국'이 자연스럽다. 어찌 된 영문일까.

우리는 흔히 '한 잔의 커피'라고 쓴다. 영어 'one(a) cup of coffee'를 고스란히 옮긴 표현이다. 허울만 한국어일 뿐, 영락없는 영어다. 입으로는 아직 '커피 한 잔'이라 하니 그나마 다행이다. 이 직역(直譯) 딱지가 신문에 덕지덕지 붙어 있다.

세 명의 학생, 20억원의 비용, 두 곳의 업체, 10발의 미사일…. 자연스러운 우리말에서 웬만하면 안 쓰는 조사(助詞) '의'가 어김없이 들어간다. 자연스럽지 않은 어순(語順·수관형사+단위명사+보통명사)이니 그럴 수밖에.

제대로 한번 써보자. 세 학생(학생 셋, 학생 세 명), 20억원, 두 업체(업체 둘, 업체 두 곳), 미사일 10발…. 단위명사나 보통명사 성격이나 수량에 따라 '수관형사+보통명사' '수관형사+단위명사' '보통명사+수관형사+단위명사' 식으로 어순이 다양하다. 때로는 '학생 셋'처럼 수관형사를 수사(數詞)로 바꿔도 된다. '거액의 탈세를 했거나→거액을 탈세했거나'처럼 아예 표현 자체를 달리해야 할 때도 있다. 간추려 보면 토씨 '의'가 굳이 낄 일이 없다.

영어는 진작 '두 잔의 커피(two cups of coffee)'에서 '커피 두 잔/커피 둘(two coffees)'로 흐름이 바뀌었다고 한다. 모습만으로는 한국어를 좇는 셈이다. 정작 우리는 오래도록 역주행(逆走行)하고 있다. '여러 사람'을 '여러 명의 사람들'이라고 쓰는 엉뚱한 사고(事故), 그만 낼 때가 됐다. 

/양해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30 윤동주 서울 하숙집 가보다... 2017-03-17 0 2799
329 시쓰기는 보석쟁이가 값진 다이아몬드를 세공하는것과 같다 2017-03-17 0 2771
328 윤동주의 시는 끝까지 한글 작품으로 남아있다... 2017-03-17 0 3361
327 윤동주의 친동생 윤일주도 시인이었다... 2017-03-16 0 4066
326 시비(詩碑)가 뭐길래 시비(是非)인거야... 2017-03-16 0 3136
325 한 편의 시에서 시의 1행이 주조행(主調行)이라 할수 있다... 2017-03-16 0 2873
324 윤동주 묘비에는 "詩人尹東柱之墓"라고 워낙 각인되여... 2017-03-16 0 3364
323 시인은 늘 령감의 메시지를 잡을줄 알아야... 2017-03-15 0 2981
322 시의 씨앗은 시인의 몸 안에서 "무자각적"으로 싹터 자란다... 2017-03-14 0 2871
32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이골이 나다"의 유래 2017-03-14 0 2506
320 일본 교토 윤동주 마지막 사진 찍은 자리에 詩碑 세우다... 2017-03-13 0 3122
319 시 한편이 태여나는것은 늘 울고 웃는 과정을 그려가는것... 2017-03-13 0 2640
318 있어야 할건 다 있고 없을건 없다는 "화개장터" 2017-03-12 0 2894
317 우리 고향 연변에도 "詩碑자연공원"을 조성해야... 2017-03-12 0 3340
316 일본 문화예술인들 윤동주를 기리다... 2017-03-12 0 4443
315 일본 한 신문사 부장이 윤동주의 "빼앗긴 시혼(詩魂)"다루다... 2017-03-12 0 3164
314 일본 녀류시인 50세부터 한글 배워 시를 번역하다... 2017-03-12 0 3366
313 일본인 = "윤동주 선배가 나와 같은 의자에서 공부했다니"... 2017-03-12 0 3024
312 일본의 중견 시인이 윤동주 시를 일본어로 완역하다... 2017-03-12 0 3298
311 일본 녀류시인 이바라키 노리코가 윤동주 시에 해설을 달다... 2017-03-12 0 2981
310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 "실랑이" = "승강이" 2017-03-11 0 2750
309 조선어의 자멸의 길은 있다?... 없다!!!... 2017-03-11 0 3694
308 시는 짧음속에서 큰 이야기를 보여줘야... 2017-03-11 0 2308
307 독자들도 시를 보고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874
306 시인들이 시가 싫어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626
305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아름다운 순 우리말로 작문짓게 하기... 2017-03-08 1 3051
304 윤동주의 친구 문익환 목사도 시 "동주야"를 썼다... 2017-03-07 0 4852
303 청년문사 송몽규도 시를 썼다... 2017-03-07 0 3035
302 청년문사 송몽규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에 들다... 2017-03-07 0 4303
301 시인과 수석인은 이웃이다... 2017-03-07 0 2665
300 민족시인 윤동주를 연변 룡정 고향에서 모실수 있다는것은... 2017-03-07 0 2714
299 시는 생명의 황금빛이며 진솔한 삶의 몸부림이다... 2017-03-06 0 2827
298 시인은 죽기전 반항하면서 시를 써야... 2017-03-03 0 3461
297 시는 천년을 기다려서 터지는 샘물이여야... 2017-03-03 0 2558
296 시는 이미지 무덤이다... 2017-03-02 0 3050
295 시는 상식, 틀, 표준 등 따위가 깨질 때 탄생해야... 2017-03-01 0 2937
294 시 한수라도 마음속에 깊이 갈무리 해야 함은?!...ㅡ 2017-02-28 0 3698
293 작문써클선생님들께;우리와 다른 알고 넘어가야 할 "두음법칙" 2017-02-28 0 3004
292 시는 "빈 그릇"이다... 2017-02-28 0 2692
291 시문학도들이 알아야 할 시창작원리 12가락 2017-02-27 0 2863
‹처음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