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문학소사전] - 추상표현주의란?...
2016년 12월 29일 00시 46분  조회:2929  추천:0  작성자: 죽림




1. 추상표현주의 작가의 특징

- 추상표현주의의 대표주자는 잭슨 폴락(Jackson Pollock)이라는 한 전위적 작가였습니다. 그는 서부의 와이오밍주 출신으로 미술공부를 하기 위해 고등학교도 졸업하지 않은채 뉴욕으로 향합니다. 한동안 인디안의 전설같은 서부의 토착문명을 상기시키는 그림을 그리던 그는 47년경부터 뿌리기작업을 시작합니다. 그는 붓으로 무언가를 그리는 대신, 뿌리고, 던지고, 튕기는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그의 그림들은 대개 전시실의 한쪽 벽면을 모두 차지하는 초대형 사이즈입니다. 이것도 세로가 7피트 4인치, 가로가 9피트 11인치의 어마어마한 크기의 그림입니다. 폴락의 경우 멕시코 벽화 화가들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만,  미국의 추상표현주의자들은 미국이라는 커다란 나라에서 살아서 그런지 엄청난 스케일의 그림을 주로 그렸습니다.

- 네덜란드 태생의 드 쿠닝(de Kooning)은 잭슨 폴락과 함께 추상표현주의의 선두주자로 간주되는 사람입니다. 그는 한동안 매우 공격적이고 격정적인 형상을 한 <여인> 연작을 하였는데, 이 작품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충격을 안겨 주었습니다. 이 그림 역시 대형 사이즈로 그려진 것입니다. 이런 격노한 여인의 형상이 초대형 캔버스에 그려져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어떤 사람들에게는 끔찍스러운 일로 느껴질 겁니다. 그림 속의 여인은 참지 못할 분노의 형상인 것 같기도 하고, 사랑과 증오가 투쟁하고 있는 형상인 것 같기도 합니다.
- 추상표현주의라고 불리우는 미술가들은 지난 시간에 보았던 잭슨 폴락이나 윌렘 드 쿠닝같은 "액션 페인팅" 작가들이 있었는가 하면, 커다란 색면을 주로 그렸던 색면 추상(color-field abstraction) 화가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모두 거대한 스케일의 화면을 강렬한 색채로 채우는 작업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러시아 태생의 화가 로스코(Rothko)는 신비스러운 종교적 분위기를 보여주는 일련의 색면화를 제작하였습니다. 그의 그림은 지극히 단순합니다. <초록, 빨강, 그리고 오렌지>, <검정위의 옅은 빨강> 등이 그의 작품의 제목들입니다. 하지만 그의 그림앞에 선 관객들은 그의 그림을 그렇게 단순하게 느끼지 않습니다. 윤곽선이 뚜렷하지 않은 커다란 사각형은 그저 사각형 모양 이상의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아니, 저것을 사각형이라 해야할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이는 노란색의 형태는 일정한 형태로 규정되지 않은채 오렌지색 화면 안으로 스며들어 가는듯 합니다. 어찌보면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숨을 쉬는 듯도 하고요, 조금씩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로스코는 물감이 캔버스에 스며드는 효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붓대신 스폰지를 사용하였습니다. 그 결과 윤곽선이 불분명해진 사각형들은 미묘한 색채와 함께 애매한 형태를 통해 신비적인 효과를 창출하였습니다. 화면 위에 둥둥 떠 있는 것 같은 강렬한 색채의 사각형들은 사람들에게 어떤 숭고한 느낌을 주었습니다. 그리하여 이 커다란 화면이 불러일으키는 신비스러운 신성함은 사람들에게 종교적 상징주의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사실 로스코도 그런 의도가 없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2. 1950년대 미국의 추상표현주의 미술의 사회적 배경
1940년대 이후 현대미술의 중심지는 미국으로 이동하는데, 미국의 문화적 주권은 70년대까지 유지됩니다. 미국의 미술가들은 자신의 작품을 통해 '미국적인 것'을 보여주고자 하는 한편, 유럽의 새로운 미술을 배우는데에도 열심이었습니다. 그들이 미국이라는 지역적 특수성을 떠나 최초로 국제적인 미술 양식을 이뤄낸 것이 바로 "추상표현주의"입니다. 추상표현주의 양식은 큐비즘과 초현실주의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만, 명백히 유럽의 추상미술과는 구별되는 미국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덤으로 더 알아보기===@


 

*1330억원에 팔린 사상 최고의 그림
/ 미국 화가 잭슨 폴록의 [넘버 5, 1948] * 


미국 화가 잭슨 폴록의 대표작 ‘넘버 5, 1948’(1948년 작·사진)이 1일 회화 사상 
가장 비싼 값에 팔렸다. 뉴욕타임스는 그림 매매에 정통한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이 그림이 뉴욕 소더비 경매사 토비아스 마이어씨의 중개로 할리우드 음반 미디어업계
재벌 데이비드 게펜 씨에게 1억4000만 달러(약 1330억 원)에 팔렸다고 보도했다.

이는 6월 화장품 제조업자의 상속인 로널드 로더 씨가 1억3500만 달러(약 1282억 원)에 
사들인 오스트리아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 작 ‘아델레 블로흐 바워 1’(1907년)의 최고
가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넘버 5, 1948’은 폴록이 드리핑(물감 떨어뜨리기) 기법을 
사용해 제작한 작품이다





1억 4천만 달라라는 사상 초유의 최고가격으로 멕시코 금융가에게 팔린
Pollock의 1948년 제 5번 작품





이하 Pollock의 여러 작품들:














 
 

////////////////////////////////////////////////////////



/제주도민일보  

 

크레이스너와 폴록의 격렬한 사랑, 서로에 대한 인내와 존경에 대한 이야기들은 크레이스너가 폴록을 후원하는 데 행복을 느꼈음을 말해준다. 반면, 지적 견고함과 포용력, 실험성이 돋보이는 그녀의 그림들은 폴록의 난감한 천재성에 대처할 수 있었던 그녀의 성숙함을 입증해 준다. ‘컬러 토템’은 크레이스너가 자신의 활기찬 색채 구성 속에 폴록의 드로잉 조각을 결합 시켜 만든 일련의 작품들 중 하나이다. 


폴록의 회화 조각은 크레이스너의 캔버스에 통합됐으며, 여기서 그 색채 조각들은 바람에 흩날리는 나뭇잎들처럼 소용돌이치고 있다. 크레이스너는 자기 작품의 본체를 자주 파괴했음에도, 되려 폴록이 단념한 회화의 잔존물에는 새로운 생명과 맥락을 부여함으로써, 그것들을 되살려냈다. 그의 작품과 그녀 작품의 유기적이고, 조화로운 합병은 창조성에서 쌍벽을 이룬 두 사람의 협력에 관한 아름다운 메타포라 할 수 있다. 발췌=「명화 1001」



=========리 크레이스너 그림작품 일부 =======























아쉬운 마음에 설명을 읽어보았습니다.



The Springs
1964
Oil on canvas, 43 x 66 in.
Gift of Wallace and Wilhelmina Holladay ?2002 The Pollock-Krasner Foundation/Artists Rights Society (ARS), New York


"Painting, for me, when it really 'happens,' is as miraculous as any natural phenomenon-as, say, a lettuce leaf."1 Although she consistently refused to "explain" the meanings of her works, Lee Krasner often indicated that even her most abstract paintings had ties to nature.


Like many of her pieces, The Springs is partly autobiographical. Its title refers to the village near East Hampton, on Long Island, where she and Jackson Pollock moved in 1945 and where she remained until settling in Manhattan two decades later. Stylistically, this is an example of gestural abstract expressionism: a large canvas, entirely covered with thick paint applied quickly in curving marks. Although it does not describe anything in particular, its rich texture, the various shades of green and white, and implied motion suggest grass and wind. In many parts of the painting "accidental" drips and splatters were left visible to emphasize the "automatic," unplanned way the pigments were applied.


Krasner painted The Springs soon after completing a group of dark abstractions called the Night Journeys and immediately after a series of personal traumas (surgery for a brain aneurysm, followed by a fall in which she broke her wrist, and then a second serious illness). Once Krasner had recovered, she began a new, very different series of paintings, much lighter in both palette and mood. As a result, many writers have interpreted The Springs as a symbol of rebirth and renewal.


1 Artist's statement, quoted in Bryan Robertson and B. H. Friedman, Lee Krasner: Paintings, Drawings, and Collages (London: Whitechapel Gallery, 1965), n.p.
    

  그녀가 크게 아픈 후에 그린 작품인데 그 이전의 어두운 작품 경향에서 벗어나서

훨씬 밝은 모습으로 그린 작품이라고 하네요.

그녀의 작품이 추상적인 것이긴 하지만 자연과의 유대가 완전히 끊어진 것은 아니라는 

설명도 있습니다.








   
(1955 | 기계오리 면화에 종이, 유채물감 | 미국 뉴욕, 베티 파슨스 컬렉션)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1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를 잘 지으려면?... 2017-02-08 0 3409
209 젓가락 두짝 = ㅣㅣ톡!.. ㅣ ㅣ톡!... 2017-02-08 0 2732
208 하늘 날던 새가 땅을 내려다보며 왈; ㅡ질서 공부 좀 해... 2017-02-08 0 2640
207 눈사람 왈; ㅡ느네집 따듯하니?... 2017-02-08 0 2482
206 역술(易術), 학술(學術), 의술(醫術), 시술(詩術), 저술(著術)... 2017-02-08 0 3747
205 시인은 시작에서 첫행을 어떻게 잘 쓸것인가를 늘 고민해야... 2017-02-08 0 3004
204 시의 제목에서도 이미지가 살아 있어야... 2017-02-08 0 2951
203 두보, 그는 두보, 두보인거야... 2017-02-08 0 4298
202 가난은 시로 가난을 못막는다?... 2017-02-08 0 4022
201 담시(談詩)란 서사시 범주에 속하는 이야기시이다... 2017-02-07 0 2787
200 패러디할 때 원작을 충분히 존중해야... 2017-02-07 0 3324
199 시의 제목을 무제(無題) 혹은 실제(失題)라고도 달수 있다... 2017-02-07 0 2831
198 시의 제목은 바로 시의 얼굴... 2017-02-07 0 3176
197 [이것이 알고싶다] - "아버지"와 "어머니" 유래 2017-02-05 0 3153
196 [이것이 알고싶다] - "~습니다"의 유래 2017-02-05 0 3138
195 시를 쓰는 사람은 많지만 시를 읽는 사람은 많을손가 많지않도다... 2017-02-05 0 3145
194 시는 벼락치듯 독자들을 전률시켜야... 2017-02-05 0 2986
193 109명 현역시인과 "최고의 시구"(2) 2017-02-05 0 3154
192 109명 현역시인과 "최고의 시구"(1) 2017-02-05 0 3193
191 시인에게시를 묻다... 2017-02-05 0 2799
190 좋은 시의 조건 10 2017-02-05 0 3164
189 "사랑하라 그러면 시는 써질지니..." 2017-02-05 1 2683
188 중국 唐代 녀류시인들 思夫曲 알아보다... 2017-02-05 0 3000
187 [자료] - 중국 현대시의 일단면 /이육사 2017-02-05 0 3854
186 "한반도의 반쪽 반도"의 현대시 문제점을 알아보다... 2017-02-05 0 2921
18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침묵" 명언모음 2017-02-05 0 3126
184 100명 詩民, 100년 詩人 노래하다... 2017-02-05 0 2887
183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덮혀"와 "덮여", "높히다"와 "높이다" 2017-02-04 0 3476
182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주락펴락"과 "쥐락펴락" 2017-02-04 0 2852
181 시는 아름답기만 해서는 모자라고 독자들의 령혼을 뜻대로 쥐락펴락 해나감과 동시에 독자들의 마음을 뒤흔들어야... 2017-02-04 0 2996
180 그 무슨 사건, 그 무슨 혁명, 그 무슨 전쟁과 詩는 싸워야... 2017-02-04 0 3083
179 [시문학소사전] - "판타지"란?... 2017-02-04 0 4370
178 동시의 상상력과 그리고 동시의 "판타지" 세계 2017-02-04 0 3205
177 시적 상상력으로 즐거움을 찾기... 2017-02-04 0 4229
176 시에서 아이디어를 얻을수 없다?... 있다!... 2017-02-04 0 2674
175 "립춘대길" = <봄맞이 시모음> 2017-02-04 0 2741
174 "동시집"을 돗자리로 깔고 "동시놀이" 알콩달콩 하자야... 2017-02-04 0 2718
173 쇠사슬은 노예의 령혼까지 묶어 놓는다... 2017-02-04 0 2924
172 시를 말하는 산문, 산문으로 된 시 2017-02-04 0 2453
171 모든 시관(詩觀)은 그 시인의 우주관에서 비롯된다... 2017-02-04 0 2696
‹처음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