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딸님"과 "따님"
2017년 01월 15일 19시 10분  조회:2975  추천:0  작성자: 죽림
"ㄹ" 탈락 단어를 적을 때는 어떻게 할까요? 

【제28항】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아니하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고 하였습니다. ( )안에 것은 버림. 

예) 다달이(달-달-이), 따님(딸-님), 마되(말-되), 마소(말-소), 부손(불-손) 
무자위(물-자위), 바느질(바늘-질), 부나비(불-나비), 부삽(불-삽) 
소나무(솔-나무), 싸전(쌀-전), 여닫이(열-닫이), 우짖다(울-짖다), 
화살(활-살) 등. 

♣자세하게 풀어드릴 게요. 
※[ㄹ] 받침이 탈락하여 소리가 나지 않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ㄹ] 받침이 [ㄴ, ㄷ, ㅅ, ㅈ] 소리 위에서 탈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 
‣ ‘ㄴ’ 앞에서는 딸+님이 → [따님]으로 소리납니다. 
‣‘ㄷ’ 앞에서는 달+달+이가 → [다달이]로 소리납니다. 
‣‘ㅅ’ 앞에서는 말+소가 → [마소]로 소리납니다. 
‣‘ㅈ’ 앞에서는 물+자위가 → [무자위]로 소리납니다. 
‣무자위란 낮은 곳에 있는 물을 높은 곳의 논이나 밭으로 자아올리는 농기구를 가리킵니다. 

2. 한자 '불(不)'의 끝소리 [ㄹ]이 그 다음 음절의 첫소리 [ㄷ, ㅈ] 앞에서 탈락하는 경우도 있구요. 
예) 부당(不當), 부덕(不德), 부득이(不得已), 부자유(不自由), 부정(不正), 부족(不足) 

3, 그러나 ‘ㄹ’ 받침이 [ㄴ, ㄷ, ㅅ, ㅈ] 글자 앞에서 다른 소리로 변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 
‣‘ㄴ’ 앞에서:물+난리, 불+놀이, 칼+날 
 ‣‘ㄷ’ 앞에서:물+동이, 발+등 
 ‣‘ㅅ’ 앞에서:철+새, 물+새 
 ‣‘ㅈ’ 앞에서:물+지게 술+잔 

4. 끝소리 [ㄹ]이 그 다음 음절의 첫소리 [ㄷ, ㅈ] 앞에서 탈락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 발달(發達), 몰지각(沒知覺), 울지, 불지(바람도 불지 마라), 볼지(언제 볼지) 등. 

/김용복 한말글 사랑 한밭모임 회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0 시의 초보자들이 개척해야 할 부분은 시를 극적으로 쓰는것... 2016-12-20 0 3025
49 시는 "부서진, 흩어진, 주인이 없는, 부르다가 죽은" 령혼찾기. 2016-12-19 0 2869
48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과 의식의 흐름기법 2016-12-18 0 6279
47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이란? 2016-12-18 0 5126
46 시의 기원은 노래... 2016-12-18 0 4063
45 시 = "최초의 궁리" + "가장 오래한 궁리" 2016-12-18 0 3858
44 [시문학소사전] - 중국 현대시 류파에 관하여 2016-12-16 0 2870
43 문학을 일상생활속에서 이어가는 삶은 아름답다... 2016-12-15 0 2620
42 시가 세상을 외면...??? 세상이 시를 외면...??? 2016-12-15 0 3107
41 문학은 싸구려 련애질의 방패가 옳다?... 아니다!... 2016-12-15 0 4191
40 소네트와 세익스피어 2016-12-14 0 3344
39 [시문학소사전] - 소네트란? 2016-12-14 0 4348
38 [시문학소사전] - 랑만주의란?... 2016-12-14 0 4066
37 영국 랑만주의 시인 - 퍼시 비시 셸리 2016-12-14 0 6655
36 신문기자 총편 출신 박문희선생 詩배우고 발표까지 하다... 2016-12-14 0 2573
35 글쓰기는 고역의 고역을 치루어야 좋은 작품이 탄생된다... 2016-12-13 0 2674
34 시는 "깨달음"의 "사고묶음"이여야... 2016-12-13 0 2745
33 이 책은 책이 아니다와 이 책은 보물창고다와의 시적미학 2016-12-12 0 2674
32 <농부> 시모음 2016-12-12 0 2925
31 시작은 시작으로서의 "남다른 시작의 길"을 모색해야... 2016-12-12 0 2761
30 시는 "나만의 스타일"로 쓰라... 2016-12-12 0 2741
29 시작은 모든 것이 늘 "치밀하고 + 치렬하게" 해야... 2016-12-12 0 2655
28 시작할 때 "화학조미료"같은 관념어 절대 "반입금지 명령"!... 2016-12-12 0 2927
27 시작할 때 스토리는 잇어지고 한가지 이야기만 하라... 2016-12-12 0 2934
26 "엉뚱한 생각" + "살짝 맛 간 시인" +...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937
25 상상 + 더 깊은 상상...+...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700
24 시는 류행가 가사가 옳다?... 아니다!... 2016-12-12 0 2611
23 시를 "감춤"과 "드러냄"의 사이에서 맛갈스레 빚어야... 2016-12-12 0 2490
22 시인은 늘 예민한 촉수로 훌륭한 시를 빚기 위해 정진해야... 2016-12-12 0 2601
21 시쓰기는 "참 나를 찾고자"하는 고행이다... 2016-12-12 0 2597
20 시인도 "완전무장"을 해야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6-12-12 0 2626
19 "썩을 놈! 어떻게 요런 시를 다 썼을깜?!..." 2016-12-11 0 2825
18 시작은 "가장 쉬운 말로, 최대한 짧게, 가장 깊은 울림"으로... 2016-12-11 0 2613
17 누가 뭐라고 해도 시는 시인이 쓰는것... 2016-12-11 0 2696
16 참 시인 되자면... 2016-12-11 0 2737
15 시 "승무"를 삭히는데 3년이나 걸리다... 2016-12-11 0 2452
14 <술> 시모음 2016-12-11 0 2568
13 [시문학소사전] - 실존주의란?... 2016-12-11 0 4543
12 詩作 잘하기와 관찰 잘하기... 2016-12-10 0 2982
11 詩人은 관찰력과 상상력이 진부해서는 절대 안된다... 2016-12-09 0 2532
‹처음  이전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