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그 무슨 사건, 그 무슨 혁명, 그 무슨 전쟁과 詩는 싸워야...
2017년 02월 04일 22시 25분  조회:3079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창작 강의-15(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 : 소재)  
김송배  


* 안녕하십니까. 

5. 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
시를 어떻게 쓰느냐에 대해서는 어떤 특별한 비결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시를 쓰는데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몇 가지를 살펴본다면 ‘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한 단편적이나마 답변의 실마리가 풀어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5-1. 소재에 대하여
시의 소재란 작품에서 다루는 재료를 말합니다. 이 재료는 자연일 수도 있고 일상샐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건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외부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일뿐만 아니라, 시인의 감정 흐름과 변화 등의 내부적인 현상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본다면 시의 소재는 무엇이든 관계없이 무한하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들이 살고 있는 주변 안팎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현상들 가운데서 특히, 우리 인생이나 삶을 아름답게 한다든지, 아니면 어렵게 한다든지 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므로 이런 절실한 것들이 언제나 시의 소재가 될 요소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C.D루이스가 ‘시인은 사물을 응시(凝視)함으로써 시적인 능력을 기른다’고 말하였듯이 우리에게 나타난 내외의 현상들을 관심있게 살펴보면 반드시 어떤 의미를 가지고 나에게 다가올 것입니다. ‘시적인 능력’이 바로 ‘어떤 의미’를 두고 사물과 자신과의 사이에 새로운 질서나 관계가 성립되고 있음을 말합니다.
시를 쓰는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상상력(상상력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할 것입니다)이 빚어내는 이미지의 연쇄반응도 언제부터인가 사물을 응시한 기억이 쌓이고 쌓여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 졸시 [담쟁이] 한 편을 읽어 보기로 합니다.

나는 지금 이쯤에서 망설여야 하리라
붉은 벽돌 틈새로 아직 여물지 못한 희망은 
잠시 창문으로 흐르는 불빛으로 말려야 한다

구름처럼 떠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못내 아쉽게 되돌아 보는 행적이지만
용케도 기어오른 삶의 줄기가 현기증으로 나불댄다

뻗어나간 욕망만큼 무거운 사색이
주르르 흘러내리고 조심스러이 다시
기어올라야하는 창살에는 불이 꺼졌다

아아, 지금쯤에서 지혜를 예비하는
옷깃을 잠시 손질하고 태초의 씨앗으로
묻혔던 땅바닥을 돌아볼거나

그대 머리 위 내리는 한 줌 별빛만 줏으며
끝내 돌아보지 말아야 할 어지러운 벼랑 끝
아스라한 저 바람 소리.

비록 하찮은 ‘담쟁이’ 넝쿨이라도 응시함으로써 상상력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시를 창작할 수 있다는 말이 됩니다. 작은 돌멩이, 강물, 달빛, 산, 낙엽 등등 어떠한 대상으로도 작품의 소재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살아가면서 충격적으로 받아들인 사건들, 예를들면 6. 25전쟁이라든가, 4. 19 민주혁명, 3. 1절,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이 떠나서 실연을 했다던가, 가족의 죽음이 있었다는 등등이 시적인 감동으로 연결될 때 이들은 모두 시의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하듯이 시 쓰는 사람의 상상력이 풍부하다는 것은 바로 그 사람의 내면적인 생활이 그만큼 넉넉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다음 시간에는 주제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

 

 

 

독(毒)을 차고
―김영랑(1903∼1950)

내 가슴에 독을 찬 지 오래로다
아직 아무도 해한 일이 없는 새로 뽑은 독
벗은 그 무서운 독 그만 훑어 버리라 한다
나는 그 독이 선뜻 벗도 해할지 모른다고 위협하고

독 안 차고 살아도 머지않아 너 나 마주 가 버리면
억만 세대가 그 뒤로 잠자코 흘러가고
나중에 땅덩이 모지라져 모래알이 될 것임을
‘허무한듸!’ 독은 차서 무얼 하느냐고?

아! 내 세상에 태어났음을 원망 않고 보낸
어느 하루가 있었던가 ‘허무한듸!’ 허나

앞뒤로 덤비는 이리 승냥이 바야흐로 내 마음을 노리매
내 산 채 짐승의 밥이 되어 찢기우고 할퀴우라 내맡긴 신세임을

 

 

나는 독을 차고 선선히 가리라
막음날 내 외로운 혼 건지기 위하여



‘김영랑 시집’(범우)에 실린 시인 연보를 훑어보다가 ‘1926년 장녀 애로(愛露) 출생’에서 입 끝이 빙긋 올라갔다. 마음이 간질간질해졌다. 딸 이름을 정성껏 짓는다면, 요조하고 현숙한 여인을 기원하는 마음이나 인생의 심원한 뜻을 담던 시절에 ‘애로(사랑의 이슬)’라니! 세상 눈치 보지 않는 자유로운 의식, 그리고 사랑과 아름다움과 쾌락을 추구하는 찬란한 감각이 엿보인다. 
 

 

선생의 시는 ‘서구문학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전통적인 시형을 현대시 속에 끌어들여 전통적인 것과 현대 서구적인 것의 접목 작업에 성공하고 있다. 특히 호남지방의 토착적인 언어를 탄력적으로 구사하여 언어예술로서 시의 참맛을 살려나간다’(평론가 김우종). 쉽고 친근한 시어로 시심을 불러일으키는 선생의 시, ‘모란이 피기까지는’ ‘내 마음을 아실 이’ ‘오― 매 단풍 들것네’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에 공감하고 애송하는 독자가 많을 테다. 

‘독을 차고’는 선생이 나긋나긋한 감성의 ‘초식남’이기만 한 게 아니라 강건한 뼈와 근육의 소유자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내 가슴에 독을 찬 지 오래로다’! 이런들 저런들 어떠하리, 짧은 인생 그냥저냥 살고지고, 하는 친구에게 설핏 경멸의 독기를 뿜으며 끝내 독을 차고 가련다는 이 기개! 의당한 독을 버리고서야 어찌 사람이겠는가. 이 슬픔의 독, 분노의 독을 차고 가리라! 이 시는 식민지 시대 말기의 반항의식을 나타낸다고 한다. 선생이 6·25전쟁을 무사히 넘기셨으면 이후 어떤 시를 쓰셨을까….


=================

@@=
"나는 주어(主語)가 곧잘 지워져도 무방한 한국어 속에 자주 숨거나 지워진 1인칭 화자(話者)로서 살아온 시의 세월 60년을 채우고 있다. 이제 시가 귀신의 일인지 허공의 일인지를 터득할 만 하더라도 도리어 시를 정의하는 나 자신은 어디에도 없다"라며 "시인이 되면 될 수록 시인은 자신의 뒷모습을 모르는 것처럼 시를 모르게 된다. 다만 나에게는 노래하는 자와 노래를 듣는 자의 실재(實在) 사이에서 영혼의 대칭(對稱)이 이루어지는 체험이 있다."
"나의 시는 첩첩이 고난을 견뎌온 한국어 속에서 태어났고 한국어는 거의 기적처럼 연면(連綿)이 이어와서 오늘에 이르렀다."    ---고은 시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10 오늘의 시는 하나의 시적 세계어의 성립을 지향해야.. 2017-04-18 0 2127
409 시가 려과없이 씌여지면 시가 산만해지고 긴장감을 잃는다... 2017-04-18 0 2079
408 불쌍한 시들을 위하여 시인들은 장인정신을 갖추어야... 2017-04-18 0 2426
407 시는 쉬지않고 살아서 움직이는 생명체여야... 2017-04-18 0 2389
406 시는 소박하고 꾸밈없는 필치로 속이 꽉차게 써야... 2017-04-18 0 2591
405 시는 삶의 희노애락이 얼룩진 보물상자에서 나온다... 2017-04-18 0 2666
404 시는 상투적인 설명에 그치지 말아야... 2017-04-18 0 2629
403 시인들이 착하게 사는지 별들이 오늘도 많이 떨어지고... 2017-04-18 0 2389
402 초현실주의는 문학예술운동을 넘어선 삶의 한 방식이다... 2017-04-11 0 4131
40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영화를 본후 시쓰기... 2017-04-10 0 3275
400 단시 모음 2017-04-10 0 3345
399 시는 온몸으로 온몸을 다해 밀고 가는것이다... 2017-04-10 0 2385
398 장 콕토는 시인이자 화가이자 영화감독이였다... 2017-04-10 0 3258
397 "...뼛가루 한점이라도 원쑤의 땅에 남길수 없다"... 2017-04-09 0 3709
396 "부끄럼 없는 인생"과 "부끄러움을 모르는 사람들" 2017-04-08 0 2666
395 시는 압축과 생략의 문학이다... 2017-04-08 0 3060
394 시작은 조탁(彫琢)과 사랑이다... 2017-04-08 0 2929
393 윤동주의 무기는 "시"였다... 2017-04-06 0 2663
392 시는 정서의 흐름으로 내면을 솔직하게 드러내야... 2017-04-06 0 2785
391 [시문학소사전] - "그로테스크"란?... 2017-04-05 0 2941
390 [시문학소사전] - "아라베스크"란?... 2017-04-05 0 3927
389 현대시를 알려면 현대시의 구조를 알아야... 2017-04-05 0 3584
388 시인은 추한 명예를 베고 눕지 않는다... 2017-04-05 0 2740
387 시를 쓰는 기본자세는 사물에 대한 애정이다... 2017-04-04 0 2955
386 현대시는 전통과 현대 서구적인것의 접목작업을 공감하기 2017-04-04 0 2550
385 시작하기전 철학공부를 하지 안아도 된다?... 꼭 해야 한다!... 2017-04-03 0 2610
384 시작은 섣부른 감정을 억제하고 간접화법으로 노래하라... 2017-04-03 0 2438
383 시는 멀리에 있는것이 아니라 가까운 삶속에 있다... 2017-04-03 0 3009
382 어머니의 말은 풍성한 시의 원천 2017-04-03 0 2370
381 시에 우리 겨레의 숨결을 옮겨 놓아야... 2017-04-03 0 2663
380 시작은 생활로부터의 도피이며 해방이다... 2017-04-03 0 2951
379 시를 짓기전 들여마셔야 할 공기와 내뱉어야 할 공기가 어떤지 생각해보기... 2017-04-03 0 2600
378 "쉬운 시"는 눈으로 쉽게 읽히고 가슴속에 깊은 향기를 풍긴다... 2017-04-03 0 2655
377 시는 정보의 전달 수단이 절대 아니다... 2017-04-03 0 3134
376 시인은 한편의 좋은 시를 위하여 수백편의 시를 쓰고 버릴줄 알아야... 2017-04-03 0 2843
375 혼을 불사르지 못하는 시인은 그 생명력이 짧을수밖에 없다... 2017-04-03 0 2642
374 시인은 구도자로서 억지를 부려 결과물을 얻어서는 안된다... 2017-04-03 0 2589
373 시적 령감은 기다리는 자의것이 아니라 땀흘려 찾는 자의 몫... 2017-04-03 0 2732
372 시를 쓰는 행위는 신과의 씨름이다... 2017-04-03 0 2552
371 시는 시인의 삶을 반추하는 그 시대의 사회적 산물이다... 2017-04-03 0 2570
‹처음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