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그대들의 마음속엔 어떤 나무를 심었는가?!...
2017년 04월 18일 21시 54분  조회:2349  추천:0  작성자: 죽림
 

 

 

 

   위진남북조시대에  생존했던  중국의  자연(전원)시인,  도연명(陶淵明, 365~427)은  문  앞에  버드나무  다섯  그루를  심어놓고  스스로  '오류선생(五柳先生)'  이라고  호를  삼았다. 

 柳 자는  <한자나무>의   저자, 랴오원하오(廖文豪)의  해석에 의하면,   '애틋하게  이별하는  나무'라   한다(김락준 옮김,  한자나무,  아템포,  2015,  p.103).   하지만,  도잠이  41세에  관직과  속세를  떠나게  된  심정  때문이라기  보다는  자연과  벗하기  위해서  버드나무를  심었던  것  같다. 

 도연명은  <오류선생전>이란   짧은   글을   통해서   자신의   인생관과   생활관을   집약적으로   표현하였다.   자시자종(自始自終),  즉 시작이   있으면   마침이   있다는   스스로   그러한   삶을   살다   귀천하였다.

 

반면,  영국의  계관시인 ,  알프레드  테니슨경(Alfred Lord Tennyson, 1809~1892)의  저택  앞에는  큰  오크(oak ; 떡갈나무나  졸참나무) 한  그루가  서  있었다.  시인은   82세에  오크의  춘하추동을  예찬한   시, 'The Oak' 를  통해서  사람들에게  인생을  오크처럼  살라  당부한다. 

테니슨경은   오크의   겨울을   인생의   노년기에   비유하면서,   오크가   잎을   다   벗지만   '적나라(赤裸裸)한  힘',  즉   입고   있던  옷을   다   벗은   뒤에도   남아   있는   힘,   나력(裸力, naked strength)을   지녀야   함을   강조한다(윤석철, 삶의 정도, 위즈덤하우스, 2017, p.181).

 

나와   너   그리고   그대들의   집   앞에는   무슨   마음의   나무(吾心之木)를   심었는가?

 


출처:[금재설화(錦載屑話)]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70 하늘은 시간의 진리가 투사되는 진실의 장소이다... 2017-10-10 0 2658
769 "시계초침이 거꾸로 돌고 돈다"... 2017-10-09 0 2593
768 시창작에서나 시감상에서나 모두 고정관념 틀을 깨버리는것 2017-10-09 0 2502
767 시인은 시를 천연덕스럽게 표현할줄 알아야... 2017-10-09 0 3360
766 난해함을 극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익숙해지기... 2017-10-09 0 3681
765 대추 한알속에 태풍 몇개, 천둥 몇개, 벼락 몇개... 2017-10-09 0 3970
764 "시계들이 날개를 활짝 펴고 0시의 바깥세계로 날아간다"... 2017-10-09 0 2206
763 "우리 한글이야말로 시를 위한 최적의 언어입니다"... 2017-10-09 0 2455
762 "글자들이 권총을 쏜다"... 2017-10-09 0 2499
761 문학은 국경과 언어의 장벽을 넘어서 인간성을 써라... 2017-10-07 0 2627
760 올해 노벨문학상 주인 나타나다... 2017-10-07 0 2337
759 고향에서 들었던 소리가 음악을 낳다... 2017-10-06 0 2235
758 [고향문단소식] - 룡정엔 문사 - 송몽규 고택과 유택이 있다... 2017-10-02 0 2322
757 윤동주 = "병원" =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2017-10-01 0 2884
756 불멸의 시인 - 윤동주와 불멸의 문사 - 송몽규의 판결문 2017-09-30 0 2997
755 윤동주네 기숙사에는 "팔도 사투리"가 욱실욱실하였다... 2017-09-30 0 2250
754 불멸의 문사 - 송몽규를 재다시 알아보기... 2017-09-30 0 3456
753 일본 포스트모던 시인 - 테라야마 슈우시 2017-09-27 0 2099
752 [이런저런] -마광수님, 인젠 님과의 인터뷰를 지옥에가 할가ㅠ 2017-09-26 0 2445
751 글을 개성적으로 쉽게 쓰는데 목표를 두고 열심히 습작하기... 2017-09-26 0 2229
750 마광수님의 "윤동주연구" = 한국 최초 "윤동주 시 장편논문" 2017-09-26 0 2229
749 동시를 "하이퍼"로 써도 됨둥... 아니 됨둥(ㄹ)... 2017-09-24 0 2248
748 "무슨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냐고요"?!... 2017-09-22 0 2165
747 "나는 가끔 주머니를 어머니로 읽는다"... 2017-09-22 0 2051
746 러시아 시인 - 네크라소프 2017-09-22 0 3694
745 마광수님, "창조적 불복종"때문에 저세상 길 택했을가... 2017-09-21 0 2422
744 마광수님, 력사앞에서 님의 "문단유사" 알아보기 2017-09-21 0 2535
743 마광수님, 오늘도 이 시지기-죽림은 님땜에 잠을 설칩니다... 2017-09-21 0 2249
742 "시계란 시계는 다 오후 다섯시였다"... 2017-09-20 0 2123
741 동시를 "하이퍼"로 써도 됨둥... 아니 됨둥(ㄷ)... 2017-09-19 0 2372
740 마광수님, 사라는 "사라"땜에 님께서 등천길 가신걸 알가ㅠ... 2017-09-19 0 2681
739 시가 언어이지만 시인은 그 언어의 장벽을 넘어설줄 알아야... 2017-09-19 0 2776
738 시는 메마르고 거친 세상을 뛰여넘는 행위예술이다.. 2017-09-19 0 2117
737 음유시인은 그 누구도 길들일수 없는 짐승이며 악마라고?!... 2017-09-17 0 2213
736 프랑스 음유시인 - 조르주 무스타키 2017-09-17 0 2200
735 반전을 노래한 음유시인- '밥 딜런' 대표곡 2017-09-17 0 3363
734 [시문학소사전] - "음유시가"란?... 2017-09-17 0 3493
733 섬과 파도 2017-09-17 0 2191
732 미국 시인, 환경운동가 - 게리 스나이더 2017-09-17 0 2631
731 시를 쓰는데는 음악과 그림이 아주 많이 도움이 된다... 2017-09-16 0 2080
‹처음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