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치욕의 력사에서 참회의 역사로 바꾸어 놓은 시인 - 윤동주
2017년 12월 16일 21시 09분  조회:3759  추천:0  작성자: 죽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유고시집으로 우리에게 절대적 양심과 순연한 정신을 남긴 시인 윤동주.

자기성찰의 시인으로 널리 알려진 윤동주는, 인간의 실존적 고뇌를 예언자적 지성으로 승화시키면서 일제 말 암흑기의 우리 시사를 치욕의 역사에서 참회의 역사로 바꾸어 놓은 시인으로 한국 문학사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매년 우리 근대문학의 성과를 재조명하고 또 독자들에게 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해 온 문학그림 전시는 , 2017년 윤동주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화가 6명을 초청하여 그의 대표 시 35편을 그림으로 새롭게 형상화 하였습니다.

강경구 작가는 한국화의 조형적 특성과 정서적 분위기로 「참회록」, 「쉽게 쓰여진 시」 등에 나타나는 자아성찰의 정신을 이미지화 하였고, 김선두 작가는 장지에 먹 분채를 이용하여 「만돌이」, 「오줌싸개 지도」 등 윤동주의 동시 세계를 토속적이고 해학적으로 그려냈습니다.

김섭 작가는 자기희생의 정신이 드러나는 시인의 기독교적 세계관을 혼합재료를 이용하여 추상화로 재해석하였고, 박영근 작가는 식민지 시대의 어두운 현실 인식이 드러나는 작품들을 유화로 서정적이면서도 묵직하게 표현해냈습니다. 이강화 작가는 나무 위 유화를 이용하는 등 자연의 생명력을 담아내는 특유의 방식으로 청년 윤동주의 모습을 묘사하였으며, 정재호 작가는 한지에 아크릴, 먹, 목탄을 이용하여 고유의 정적이고 동양적인 색조로 「별 헤는 밤」, 「자화상」 등에 나타나는 윤동주의 이상세계와 실존의식을 그려냈습니다.

작가들이 그린 각각의 회화 작품들은 텍스트에 머물러 있던 윤동주의 시를 미술의 영역으로 불러내어, 일제 강점기 시대의 폭력을 내면의 세계로 응시한 윤동주 시 속 이미지를 개성적 시선으로 표현해 내었습니다. 2017년 윤동주 탄생 100주년 시그림 전시도, 대표적 기초 예술인 ‘문학’과 ‘미술’이 상호소통하며 어떻게 새로운 상상력을 발휘하는지, 관객들께서 확인할 수 있는 흥미로운 자리가 될 것입니다.

  • 강경구 [쉽게 쓰여진 시(부끄러운 날)] 72.7×60.6cm 캔버스에 아크릴릭 2017
           

    강경구 [쉽게 쓰여진 시(부끄러운 날)] 72.7×60.6cm 캔버스에 아크릴릭 2017

  • 강경구 [참회록(운석)]  91×72.7cm 캔버스에 아크릴릭 2017
           

    강경구 [참회록(운석)] 91×72.7cm 캔버스에 아크릴릭 2017

  • 강경구 [소년(슬픈 강물)] 45.5×53cm 캔버스에 아크릴릭 2017
           

    강경구 [소년(슬픈 강물)] 45.5×53cm 캔버스에 아크릴릭 2017

  • 김선두 [고향집]  91×64cm 장지에 먹, 분채 2017
           

    김선두 [고향집] 91×64cm 장지에 먹, 분채 2017

  • 김선두 [아우의 인상화] 39×66cm 장지에 먹, 분채 2017
           

    김선두 [아우의 인상화] 39×66cm 장지에 먹, 분채 2017

  • 김선두 [오줌쏘개 디도] 37×22cm 장지에 분채 2017
           

    김선두 [오줌쏘개 디도] 37×22cm 장지에 분채 2017

  • 김섭 [츠르게네프의 언덕] 76×57cm 종이에 혼합재료 2017
           

    김섭 [츠르게네프의 언덕] 76×57cm 종이에 혼합재료 2017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10 시는 마음속의 뜻을 말로 조각해내는것... 2018-03-29 0 2613
1009 산문시는 고리끼 "해연의 노래"가 전범(典範)이다... 2018-03-29 0 2438
1008 글 농사는 뼈를 깎는 고행이다... 2018-03-29 0 2515
1007 "한알의 모래속에서 천국을 본다"... 2018-03-29 0 3671
1006 "태초부터 시인이 있었었다"... 2018-03-29 0 2654
1005 "최고의 정신적 보물을 젊은이들과 더불어..." 2018-03-28 0 2279
1004 "문제 그 자체를 사랑하라"... 2018-03-28 0 2570
1003 그대들은 "단발머리"를 떠올려 보았는가... 2018-03-28 0 2713
1002 그대들은 "내 귀에 캔디"를 먹어봤는가... 2018-03-28 0 2758
1001 그대들은 "오르막길"을 톺아봤는가... 2018-03-28 0 2410
1000 그대들은 "1178"를 불러봤는가... 2018-03-27 0 2482
999 그대들은 "그 겨울의 찻집"을 아는가... 2018-03-27 0 2458
998 그대들은 "총맞은것처럼" 아파봤는가... 2018-03-27 0 2795
997 그대들은 "빨간 맛"을 맛보았는가... 2018-03-27 0 2448
996 "보이지 않는것도 있는거야"... 2018-03-27 0 2580
995 "새는 하느님이 만든 가장 고운 악기"... 2018-03-24 0 4477
994 "응아 하면, 엄마 얼굴엔 웃음꽃 피지요"... 2018-03-23 0 2602
993 "골목대장이 된 바람" 2018-03-22 0 2496
992 "아가는 생살을 찢고 열달 은총의 문 나서다"... 2018-03-22 0 2621
991 다리를 천천히 건너는 사람과 다리를 발빨리 건너는 사람 2018-03-20 0 2488
990 [작문써클선생님께] - "과학동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03-19 0 4571
989 "어머니는 모든것을 둥글게 하는 버릇이 있다"... 2018-03-19 0 2589
988 [작문써클선생님께] - 산문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03-19 0 4767
987 미국 시인 - 맥스 어맨 2018-03-19 0 3970
986 {장시} - 강천 려행 떠난 바람 이야기 / 박문희 2018-03-18 0 2704
985 <하늘> 시모음 2018-03-14 0 2403
984 산문시와 러시아 문호 뚜르게네프 2018-03-14 0 2639
983 "겨울이 왔으니 봄도 멀지 않으리"... 2018-03-13 0 2672
982 한편의 가사를 위해 2만편의 시를 쓰다... 2018-03-10 0 4054
981 "나는 너의 심장소리를 듣는다"... 2018-03-10 0 2336
980 노르웨이(스웨덴) 초현실주의 사진작가 - 에릭 요한슨 2018-03-07 0 7457
979 "얘야, 그건 날개가 아니란다"... 2018-03-07 0 3495
978 "백만장자 되는것보다 문맹의 인디언이 되는게 낫다"... 2018-03-06 0 2491
977 "보리밥방귀", 뿡, 뽕, 빵 그립다... 2018-03-05 0 3664
976 {자료} - 우리 조선민족 시단은 다원화 창작으로... 2018-03-04 0 2567
975 {자료} - 우리 조선민족의 시단에 귀한 시인들 있는한... 2018-03-04 0 2303
974 {자료} - 우리 조선민족의 문학의 희망적 사항은... 2018-03-04 0 2017
973 [동네방네] - 독립운동가 문사 송몽규는 죽지 않았다... 2018-03-04 0 3132
972 <고난> 시모음 2018-03-04 0 2769
971 <탐욕> 시모음 2018-03-04 0 4052
‹처음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