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4
2017년 12월 21일 23시 58분  조회:2632  추천:0  작성자: 죽림

 

동시조 이해와 지도의 실제

                                                                  서울망우초등학교 교감 백 민

 

 

 

 

Ⅰ. 동시조의 이해 / 1

1. 동시조의 발달 / 1

2. 동시조의 정의 / 2

3. 동시와 동시조의 차이점 / 2

 

 

Ⅱ. 동시조 작법 지도의 실제 / 3

1. 동시조 작법의 기본 자세 / 3

2. 동시조 작법의 기본 형식 / 5

3. 동시조 작법지도의 기초 공부 / 6

4. 동시조 짓기 지도의 실제 / 10

 

 

 

Ⅰ. 동시조의 이해

 

1. 동시조의 발달

1930년대의 아동문학의 특징은 예술동요, 시적동요로 발달되어 간 것이다. 1932년에 최초의 작품집으로 윤석중 동요집이 나왔고 1933년에는 윤석중에 의하여 최초 동시집이란 장르로《잃어버린 댕기》가 나왔다. 또 잡지《어린이》,《신소년》등을 통하여 방정환, 마해송, 이주홍, 이원수 등 많은 아동문학인들이 아동문학 작품을 발표했다. 그러나 시조문단에서는 동시조라는 장르조차 없었던 동시조 황무지였으나 심훈이 1934년 4월《중앙》에 동시조 작품 <달밤>을 발표하였는데 이것이 동시조 작품으로는 최초로 알려져 있다.

 

달밤

심훈

 

저 달이 네 눈에는

능금으로 보이다냐

 

어린 것 등에 업고

따 달라고 조르네

 

네 엄마 얼굴을 보렴

달 한 송이 열렸고나.

 

또한 1935년 5월《사해공론》에 발표한 조연제의 <봄비>가 동시조의 두 번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봄비

조연제

 

띄 밭에 봄비가 보슬보슬 뛰논다

샛노란 띄 싹은 흙덩이 헤치고

작은 손 목 넘겨들어 나도 나도 달라 하네.

1940년 5월 29일 이구조가《동아일보》에 아동시조의 제창《어린이 문학 논의》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는 1955년 정훈이《호서문학》에 <산을 보노라면> 동시조 작품을 발표하는 등 동시조 운동이 소수에 그치고 말았다. 동시조 짓기가 문학운동으로 전개된 것은 1981년 8월 15일 동인회 국민동시조 운동본부(현재 한국동시조 문학회)가 결성되어 1981년 9월 30일 동인지《동시조 문학》(발행인 김두원)창간호의 출범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 이후 1988년 김형진 발행《동시조 사상》1991년 경철《동시조 개설》1995년 4월 8일박석순 발행《한국동시조》를 창간하여 현재 제 13집까지 발행하였고, 1997년 동시조 쪽배 동호회가《쪽배》창간하여 현재 제 3집을 발행하였으며, 2000년 6월 30일 김창현 발행《대전 동시조》를 창간하여 제 3집까지 나왔다. 결론적으로 동시조의 황무지였던 한국문단에서 1930년대에 나타난 심훈의 <달밤>, 조연제의 <봄비>는 동시조의 효시라고 할 수 있으며 뒤를 이어 이구조의 동시조론이 발표되어 비로소 한국 문단에 동시조의 씨를 뿌렸다고 할 수 있다. ☞ <대전 동시조 창간호 2000. 6>

 

2. 동시조의 정의

시조에 있어서 광의의 정의는 “시조는 우리 민족의 고유한 시가 형식으로서 한민족의 性情과 시대정신을 운율적으로 표현한 3장의 정형시다”이다. 또한 협의의 정의는 “시조는 한민족의 고유한 시가형식으로서 사상과 감정을 운율적으로 표현한 3장 6구 12음보의 율격을 갖춘 정형시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조는 시조의 형식을 빌어 어른이 어린이를 위해 지어낸 동시조와 어린이가 스스로 직접 지어낸 아동시조가 있는데 이를 통틀어 동시조라고 한다. 즉, 동시조의 정의는 “우리 민족의 고유한 시조 형식으로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동심의 사상과 감정을 운율적으로 표현한 3장 6구의 정형시이다”라고 말할 수 있다.

 

3. 동시와 동시조의 차이점

 

가. 같은 점

① 그 내용과 소재 그리고 쓰는 목적이 같다.

 

나. 다른 점

① 동시는 일정한 형식이 없이 자유로운 행과 배열이 자유스럽다.

② 동시조(시조)는 우리 언어의 기본 구조인 3.4조의 음보(걸음)에 '하늘(초장)' 과'땅 (중장)'과 '인간(종장)'의 기본 구조인 초장․ 중장․종장의 형식에 얹어 하늘을 땅 을 인간을 다스리는 정형(형식)의 시다.

 

☞ 동시조는 단순한 문학적 종류인 동시(詩)를 넘어 즉 시조는 시간, 현재, 과거와 미래, 생(生), 사(死), 우주를 스스로 다스리는 우리민족의 고유한 우주관이 담긴 문학입니다.

 

 

 

 

Ⅱ. 동시조 작법 지도의 실제

 

1. 동시조 작법의 기본 자세

동시조 창작을 위해 다독, 다찰, 다송, 다사, 다작 기본 5요소를 꾸준히 지키면서 동시조와 친근감, 지속성과 끈기로 노력과 반복을 하다 보면 나만의 독특한 동시조의 세계가 자신도 모르게 형성된다.

☞ ① 괴테는 시를 위해 10일간을 기도하는 자세로 강과 산을 바라보았다 한다.

② 이백 시인은 시를 위해 3년간이나 강물에 빠져보았다고 한다.

③ 일본의 제일인자 석천탁목(石川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30 윤동주묘 발견 당시 "묘비는 제대로 서있었다"... 2017-09-15 0 2319
729 시의 재료는 바로 시인 자신이다... 2017-09-15 0 2203
728 미국 시적 스타일 실험영화 감독, 시인 - 제임스 브로톤 2017-09-15 0 3378
727 미국 실험영화 감독, 시인 - 크리스토퍼 맥클레인 2017-09-15 0 2976
726 미국 비트시인 - 코소 2017-09-15 0 3289
725 미국 시인 비트운동의 지도자 - 케루악 2017-09-15 0 3161
724 [시문학소사전] - "비트"문학이란?... 2017-09-15 0 3572
723 만약 당신과 함께 지구별 한 골목에서 세탁소를 연다면... 2017-09-14 0 3408
722 "새는 자기의 자취를 남기지 않는다"... 2017-09-14 0 2355
721 시인은 시에서 때론 목소리를 낮출줄도 알아야 한다... 2017-09-14 0 2020
720 이상시인 문학의 매력은 "모호함"... 2017-09-14 0 2246
719 "윤동주 전문가" - 마광수님 2017-09-14 0 2191
718 마광수님은 "값비싼 대가"로 통시적 진실를 치렀다... 2017-09-14 0 2131
717 시쓰기는 남자가 녀자를, 녀자가 남자를 꼬시는것과 같다... 2017-09-13 0 2425
716 시를 쓰는것은 집을 짓는것과 같다... 2017-09-13 0 2102
715 "윤동주는 기적, 우리 문학 축복"="윤동주처럼 멋진 시인이 꿈" 2017-09-12 0 2286
714 윤동주 "별 헤는 밤"에서의 "패, 경, 옥"은 "페이, 징, 위"로... 2017-09-12 0 2540
713 "600년보다 더 길고 긴 60년"... 2017-09-11 0 1998
712 "평생을 같은 수컷의 씨를 품는 암늑대란 없다"... 2017-09-09 0 2164
711 마광수님과 "대추 한알" 2017-09-09 0 2757
710 마광수님의 자유로운 령혼과 죽음앞에서... 2017-09-09 0 2330
709 "시대의 狂人" - 마광수님은 시인이였다... 2017-09-09 0 2325
70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글은 쉽게 써내는것 명문장이야... 2017-09-09 0 2312
707 {쟁명} - 동시도 "하이퍼동시"로 쓸수 없다?... 있다!... 2017-09-08 0 1980
706 "세상에서 가장 긴 강은 '엄마의 젖강'인것을"... 2017-09-08 0 2039
705 "시인"을 마음대로 사고 파는것은 절대 용납할수 없다... 2017-09-08 0 2101
704 진정한 프로시인은 내용과 형식을 절제, 일치하게 쓰는 시인... 2017-09-07 0 2335
703 시는 운률도 적절히 살리고 여백의 미도 적당히 활용할줄도... 2017-09-07 0 2369
702 "문단의 이단아" 마광수님은 항상 "자유인"이 되고싶어 했다... 2017-09-07 0 2303
701 "별것도 아닌 인생"길에서 미술도 열심히 좋아했던 마광수님 2017-09-07 0 2348
700 마광수, 그는 도대체 누구인가?!... 2017-09-07 0 3879
699 마광수-국문학 력사상 처음으로 윤동주시인의 모든 시를 분석 2017-09-07 0 3937
698 구수한 "배추국"과 마광수님의 "배출구"는 어디?!... 2017-09-07 0 2342
697 "솔직한 시인" 윤동주와 "부끄러움" 찾아낸 마광수 2017-09-07 0 2461
696 시교육은 권위주의적인 주입식 일방적 통로와 결별해야... 2017-09-04 0 2480
695 독일 시인 - 베르톨트 브레히트 2017-09-03 0 3965
694 시인들이여, "낯설게 하기"는 어디에서 어떻게 왔을가... 2017-09-03 0 3945
693 "가져오기주의"와 "받아먹기주의"와 그리고 "민족적인것주의" 2017-09-02 0 2121
692 동시의 예술은 오로지 이미지변형, 그 표준;- 하하하 없단다... 2017-09-02 0 2288
691 시에서 낯설음의 이미지용법은 곧 시적 해방이며 자유이다... 2017-09-02 0 2387
‹처음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