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한알은 날짐승 주고, 또 한알은 들짐승 먹고 남은 한알은..."
2018년 02월 01일 02시 04분  조회:2721  추천:0  작성자: 죽림

<착한 마음을 노래하는 동시 모음> 


+ 내게로 달려오는 것이 있다면 

내게로 웃으며 달려오는 것이 있다면 
그게 낯선 강아지라도 
꼭 안아 줄 거야 

내게로 달려오는 것이 있다면 
가랑잎이라 해도 
잠시 집어들고 살펴볼 테야 
혹시, 시의 모서리가 있을지 몰라 

빈 과자 봉지가 
내게 달려온다 해도 
나는 모른 척할 수 없을 거야 
내게 온 이유가 있을 테니까 

내게로 마구, 달려오는 것이 
찬바람이라 해도 
난 두 팔 벌려 맞아 줄 거야 
잠시나마 따뜻하라고 
(이혜영·아동문학가) 


+ 키 작은 애 

키 작은 애 손을 쥐면 
내 손이 좇아서 
조그매지려 한다. 

도란도란 마주 앉아 
이야기를 나누노라면 
내 귀는 솔긋 
키 작은 애 가까이로 
기울고, 

손을 잡고 걸을 때면 
키를 한껏 낮추어 걷게 된다. 
그 애가 보는 높이만큼서 
꽃이든지 
풀이든지 
보고 싶다. 
(이상교·아동문학가, 1949-) 


+ 길을 가다 

길을 가다 문득 
혼자 놀고 있는 아기새를 만나면 
다가가 그 곁에 가만히 서 보고 싶다. 
잎들이 다 지고 하늘이 하나 
빈 가지 끝에 걸려 떨고 있는 
그런 가을날 
혼자 놀고 있는 아기새를 만나면 
내 어깨와 
아기새의 그 작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어디든 걸어 보고 싶다. 
(이준관·시인, 1949-) 


+ 내가 가장 착해질 때 

이랑을 만들고 
흙을 만지며 
씨를 뿌릴 때 
나는 저절로 착해진다. 
(서정홍·시인, 1958-) 


+ 김밥 아줌마 

김밥을 싸다 말고 
자꾸만 길가를 기웃거리던 
김밥아줌마 
하얀 쌀밥 한 주먹 
크게 쥐어 휘익 던지자 

금세 비둘기 한 마리 날아와 
콕콕 찍어먹다 말고 
포르르 날아가 
어느새 친구들을 불러 와  
서로 부리를 맞대고 맛있게 
콕콕, 콕콕콕 

장마가 길면 
작은 새들은 배곯기 일쑤라며 
걱정하던 김밥아줌마 
그때서야 흐뭇한 얼굴로 
김밥을 돌돌 만다. 
(박예분·아동문학가) 


+ 몰랐지? 

산딸기가 
흙 튀는 낮은 곳에 
몰래 숨어 
익는 이유가 있지. 

사람들 눈을 피해 
꼭꼭 숨어 
익는 이유가 있지. 

키 작고 힘없는 
약한 개미들 
느릿느릿 
느림보 달팽이들 

느리고, 힘없고, 
여리고 약한 애들까지 
다 나누고 살아야 한다는 것. 
(양인숙·아동문학가) 


+ 아침 버스에서 

추운 날 아침 
아침 버스의 
차가운 좌석에 앉다가 

뜻밖에도 
따스하게 밀려오는 
그 누구인가의 체온을 느낀다. 

이 자리에 앉았다가 
따스한 체온만을 남겨 두고 
내린 사람은 누구일까. 

추운 겨울의 
한 모퉁이를 녹여주는 
이 좌석에 앉아 

나는 
다음 사람을 위해 
더 따스한 자리를 남겨 주고 싶었다. 
(권영상·아동문학가) 


+ 너도 알 거야 

"왜 한 구멍에 콩을 세 알씩 심어요?" 
흙을 다독거리는 할머니께 물었다. 
"한 알은 날짐승 주고 
또 한 알은 들짐승 먹이고 
남은 한 알은 너 주려고 그런단다." 

할머니는 
콩밭 군데군데 수수도 심으셨지. 
"수수는 왜 심어요?" 
할머니는 빙그레 웃기만 하셨다. 

참새는 
콩밭을 한 바퀴 돌고는 
―콩은 너무 커 
콩밭을 두 바퀴 돌고나서는 
―수수 알갱이는 먹기 좋은데 

가을이 되어서야 알았지. 
주둥이가 작은 참새까지도 생각하신 
할머니 마음. 
(이성자·아동문학가) 


+ 짐수레 

짐수레가 간다. 
오르막길에, 

수레 끄는 아저씨 등이 
땀에 흠뻑 젖었다. 

가만히 다가가서 
수레를 밀었다. 

아저씨가 돌아보며 
씨익 웃었다. 
나는 더 힘껏 밀었다. 
(김종상·아동문학가) 


+ 가로수 

어깨를 건드린다 아는 체하며 
돌아보니 살며시 등을 기대는 가로수. 
'쉬었다 가렴.' 
푸른 물소리로 말을 건넨다. 
그렇구나 
숱하게 이 길을 오갈 때마다 
나무는 내게 눈길을 주고 있었구나. 
등으로 전해지는 물소리. 
하늘엔 땡볕이 타고 있는데 
기다리고 있었구나 나무는 
푸른 그늘을 만들며. 
(김재수·아동문학가) 


+ 눈 오는 날 

논밭들도 
누가 더 넓은가 
나누기를 멈추었다. 

도로들도 
누가 더 긴지 
재보기를 그만 두었다. 

예쁜 색 자랑하던 
지붕들도 
뽐내기를 그쳤다. 

모두가 
욕심을 버린 
하얗게 눈이 오는 날. 
(이문희·시인) 


+ 육교가 헐리면 

옷걸이, 면봉, 파리채, 먼지떨이, 
수세미, 우산꽂이, 장독덮개, 효자손 ..... 

버젓하게 걸어놓은 간판은 없어도 
단돈 천원으로도 푸짐한 
육교 위 엄마 가게 

온종일 
해님이 내려와 놀고 
가끔씩 바람이 제 맘대로 들랑대는 
가게 앞에 앉아 
뜨개질도 하고 신문도 보는 엄마 

이제 어쩌나 
육교가 헐린다는데...... 

학교 가는 길 
난 
새로 생긴 횡단보도를 훌쩍 건너면 되는데 

엄마 가게는 
엄마 가게는....... 
(한상순·아동문학가) 


+ 열어 두어 

가느다란 바늘에 
작은 창 하나 열려 있다 

열어 둔 창으로 
야윈 실 하나 들어와 
바늘과 손잡고 일을 한다 

길 잃은 단추 
데려다 주고 
양말 상처 
치료해 준다. 
(정갑숙·아동문학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70 바다에 뛰여들는 양떼가 되지말기... 2019-01-20 0 3415
136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로수 2019-01-19 0 3505
1368 윤동주의 시 8개국 언어로 번역되다... 2019-01-19 0 3820
1367 윤동주와 "해바라기" 2019-01-17 0 4522
136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바라기 얼굴 2019-01-17 0 4171
1365 윤동주와 "귀뚜라미" 2019-01-14 0 6876
1364 "어린이를 내려다보지 마시고 쳐다보아 주시오" 2019-01-14 0 3659
136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귀뚜라미와 나와 2019-01-14 0 3942
136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빛, 바람 2019-01-13 0 3576
1361 [그것이 알고싶다] - "상어가족"탄생기... 2019-01-13 0 3996
1360 [그것이 알고싶다] - 동요 "아기상어"... 2019-01-13 0 5426
135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애기의 새벽 2019-01-13 0 3729
135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거짓부리 2019-01-12 0 3706
1357 윤동주와 "반디불" 2019-01-12 0 5053
1356 리상화 / 반디불 2019-01-12 0 3377
135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반디불 2019-01-11 0 3706
135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만돌이 2019-01-11 0 3402
135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오줌싸개지도 2019-01-09 0 3735
1352 우리의 시랑송도 늘 생활속과 함께라면... 2019-01-09 0 3250
1351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랑송"을 어떻게 할가ㅠ... 2019-01-09 0 3596
1350 윤동주와 "참새" 2019-01-08 0 4074
134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참새 2019-01-08 0 3606
134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닭(2) 2019-01-06 0 3094
134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행기 2019-01-06 0 3247
134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자루 2019-01-01 0 3315
134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오후의 구장(球場) 2018-12-29 0 2997
1344 만화로 보는 윤동주와 정병욱 2018-12-29 0 3401
1343 윤동주와 백영(白影) 2018-12-29 0 3355
1342 우지강아, 네가 말해다오... 2018-12-26 0 3821
1341 서로 누워있는 자리는 달랐어도 같은 꿈을 꾸었으리... 2018-12-26 0 3606
1340 세계 문호들의 "참회록" 2018-12-24 0 3006
1339 "일본의 윤동주" - 마키무라 고 2018-12-24 0 3103
1338 ... 2018-12-23 0 2850
1337 동주, 그는 죽지 않았다... 2018-12-23 0 2943
1336 ... 2018-12-21 0 3697
1335 윤동주와 영화 "동주" 그리고 그의 시 15편 2018-12-21 0 3183
133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종달새 2018-12-21 0 3934
1333 ... 2018-12-20 0 3236
1332 ... 2018-12-20 0 2948
1331 ... 2018-12-20 0 3033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