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와 윤석중
2018년 11월 15일 23시 34분  조회:3331  추천:0  작성자: 죽림
 
시대 현대
출생 1911년 5월 25일
사망 2003년
경력 새싹회 회장
유형 인물
직업 아동문학가
대표작 『윤석중동요집』, 『잃어버린 댕기』, 『어깨동무』, 『굴렁쇠』
성별
분야 문학/현대문학
본관 파평

요약 1911∼2003. 아동문학가.

개설

아명 노마, 호 석동(石童). 1911년 5월 25일 서울 중구 수표동 13번지에서 윤덕병과 조덕희의 여덟째로 태어났으나 형제들이 일찍 죽어 독자로 살았다. 1921년교동보통학교에 입학하고 1925년양정고등보통학교 입학했다가, 1929년 광주학생의거가 발발하자 자퇴하였다. 1939년 『조선일보』 장학생으로 뽑혀서 일본 조치(上智)대학 신문학과에 유학하여 1941년 졸업하였다. 박용실과의 슬하에 3남 1녀를 두었다.

생애

1923년 보통학교에 재학하던 중 심재영, 설정식 등과 소년문예단체 꽃밭사를 결성하고 동인지 『꽃밭』을 발간했으며, 1924년소용수, 이원수, 이성홍, 신고송, 서덕출, 최순애, 이정구, 윤복진, 최경화 등과 글벗사를 만들어 동인지 『굴렁쇠』를 발간하며 일찍부터 소년문예운동을 일으켰다. 그는 1933년 『어린이』 주간, 1934년 『소년주간』 주간, 1945년 『주간 소학생』 주간, 1955년 『조선일보』 편집 고문 등을 거치면서 동요의 창작과 보급에 일생을 바쳐 ‘한국 동요의 아버지’로 불린다.

활동사항

그는 13세의 나이로 『신소년』에 동요 「봄」이 입산되고, 192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화극 「올빼미의 눈」이 선외가작으로 뽑힌 다음, 같은 해 『어린이』에 동요 「오뚝이」가 입선되었으며, 1926년 「조선물산장려가」가 당선되면서 천재소년예술가로 불렸다.

그는 작품의 소재를 어린이들의 일상과 자연에서 찾았다. 그의 동요 세계는 4·4조나 7·5조의 형태에 반복과 대구를 사용하던 초기의 정형동요에서 시적 동요로 나아갔고, 낙천주의적 정서를 기반으로 어린이들의 밝고 긍정적인 장면을 포착하여 형상화한 특징을 보였다.

그는 1956년 1월 3일조풍연, 피천득, 어효선, 홍웅선 등과 새싹회를 창립하여 어린이문화운동에 앞장섰다. 그는 1957년 소파상을 제정하고, 1961년 장한 어머니상 제정했으며, 1964년 마해송의 문학 세계를 기리는 해송문학상을 제정하였다. 1967년 한국문인협회 아동문학분과 위원장을 맡았고, 1969년에는 전국 30여 개 초등학교의 교가를 지어주었다. 그는 1974년 방송용어심의위원장과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고문, 1977년 『새싹문학』과 『한글나라』 주간을 지냈다. 그는 1978년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1979년 방송윤리위원장, 1981년부터 1984년까지 초대 방송위원장, 1986년 대한민국 예술원 원로회원, 1997년 마해송문학비건립위원장 등을 역임하는 등, 다방면에 걸쳐 혁혁한 공적을 세우고 2003년 대전 국립현충원 국가사회봉헌자묘역에 안장되었다.

2005년부터 새싹회에서 그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는 윤석중문학상을 제정하여 시상하고 있다.

주요 작품집으로 동요집 『윤석중동요집』(1932), 『잃어버린 댕기』(1933), 『어깨동무』(1940), 『새벽달』(1943), 『초생달』(1946), 『굴렁쇠』(1948), 『아침까치』(1950), 『윤석중 동요 100곡』(1954), 『노래동산』(1956), 『노래선물』(1957), 『엄마손』(1960), 『윤석중동요집』(1963), 『해바라기 꽃시계』(1966), 『카네이션 엄마꽃』(1967), 『꽃길』(1968), 『윤석중 노래동산』(1971), 『윤석중 동요 525곡집』(1980), 『아기꿈』(1987), 『윤석중전집 (1-30)』(1988), 동요동시집 『여든 살 먹은 아이』(1990), 『그 얼마나 고마우냐』(1994), 『반갑구나 반가워』(1995), 『깊은 산속 옹달샘 누가 와서 먹나요』(1999), 동화집 『열손가락 이야기』(1977), 『열두 대문』(1985), 아흔 기념 문집 『내일도 부르는 노래』(2000) 등이 있고, 기간 작품들은 『윤석중전집 (1-30)』에 집성되어 있음.

상훈과 추모

3·1문화상(1961), 문화훈장 국민장(1966), 외솔상(1973), 리몬 막사이사이상(1978), 대한민국 문학상(1982), 세종문화상(1983), 대한민국예술원상(1989), KBS동요대상(1990), 인촌상(1992)

==========================///

 

 
출생 1911. 5. 25, 서울
사망 2003. 12. 9, 서울
국적 한국

요약 아동문학가. 1924년 <신소년>지에 동시 <봄>으로 등단했으며 이후 전통적 정형률에서 벗어난 새로운 형태의 동시와 동요를 써서 한국의 아동문학 발전에 이바지했다. 방정환 선생의 뒤를 이어 <어린이>지 주간을 맡았으며, 일생을 동요와 글짓기에 바쳤다. 대표작은 <낮에 나온 반달>·<퐁당 퐁당>·<도리도리 짝짝궁> 등이다.

 
윤석중(尹石重)
윤석중(尹石重)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아동문학가. 1911년 서울에서 태어나 1930년 양정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44년 일본 조치대학[上智大學] 신문학과를 마쳤다. 1924년 <신소년>에 동시 <봄>과 1925년 <어린이>에 <오뚜기>를 발표해 문단에 나왔으며, 전통적 정형률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형식 및 반복과 대구를 사용해 율동적 표현을 구사하는 동시를 개발하는 데 힘썼다.

1933년 〈어린이〉 주간, 1934년 <소년중앙> 주간, 1936년 <소년> 주간을 역임했으며, 이후 <조선일보> 편집고문, <소년조선일보> 고문, 서울시 문화위원, 한국문인협회 아동분과 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중앙대학교·성신여자대학교 등에서 강의했다. 1953년 '새싹회'를 창립해 회장에 취임했다.

1932년에 펴낸 <윤석중동요집>은 한국 최초의 창작동요집이며, 여기에 실린 <낮에 나온 반달>·<퐁당 퐁당>·<도리도리 짝짝궁>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1933년에 펴낸 동시집 <잃어버린 댕기>에는 기존의 3·4조나 7·5조의 음수율을 벗어난 동시 여러 편이 실려 있는데, 특히 그는 이 동시집을 통해 글자수를 맞추어 지은 것을 동요라 하고 자유롭게 지은 것을 동시라 하여 동시의 문학적 성격을 규정했다.

동시집으로 <어깨동무>(1940)·<굴렁쇠>(1948) 등과 동화집으로 <바람과 연>(1966)·<열 손가락 이야기>(1977) 등이 있다. 1961년 3·1문화상, 1979년 막사이사이상, 1982년 대한민국 문학상, 1989년 대한민국 예술원상, 1922년 인촌상 등을 받았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0 시의 초보자들이 개척해야 할 부분은 시를 극적으로 쓰는것... 2016-12-20 0 3025
49 시는 "부서진, 흩어진, 주인이 없는, 부르다가 죽은" 령혼찾기. 2016-12-19 0 2869
48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과 의식의 흐름기법 2016-12-18 0 6279
47 [시문학소사전] - 자동기술법이란? 2016-12-18 0 5126
46 시의 기원은 노래... 2016-12-18 0 4063
45 시 = "최초의 궁리" + "가장 오래한 궁리" 2016-12-18 0 3858
44 [시문학소사전] - 중국 현대시 류파에 관하여 2016-12-16 0 2870
43 문학을 일상생활속에서 이어가는 삶은 아름답다... 2016-12-15 0 2620
42 시가 세상을 외면...??? 세상이 시를 외면...??? 2016-12-15 0 3107
41 문학은 싸구려 련애질의 방패가 옳다?... 아니다!... 2016-12-15 0 4191
40 소네트와 세익스피어 2016-12-14 0 3344
39 [시문학소사전] - 소네트란? 2016-12-14 0 4348
38 [시문학소사전] - 랑만주의란?... 2016-12-14 0 4066
37 영국 랑만주의 시인 - 퍼시 비시 셸리 2016-12-14 0 6655
36 신문기자 총편 출신 박문희선생 詩배우고 발표까지 하다... 2016-12-14 0 2573
35 글쓰기는 고역의 고역을 치루어야 좋은 작품이 탄생된다... 2016-12-13 0 2674
34 시는 "깨달음"의 "사고묶음"이여야... 2016-12-13 0 2745
33 이 책은 책이 아니다와 이 책은 보물창고다와의 시적미학 2016-12-12 0 2674
32 <농부> 시모음 2016-12-12 0 2925
31 시작은 시작으로서의 "남다른 시작의 길"을 모색해야... 2016-12-12 0 2761
30 시는 "나만의 스타일"로 쓰라... 2016-12-12 0 2741
29 시작은 모든 것이 늘 "치밀하고 + 치렬하게" 해야... 2016-12-12 0 2655
28 시작할 때 "화학조미료"같은 관념어 절대 "반입금지 명령"!... 2016-12-12 0 2927
27 시작할 때 스토리는 잇어지고 한가지 이야기만 하라... 2016-12-12 0 2934
26 "엉뚱한 생각" + "살짝 맛 간 시인" +...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937
25 상상 + 더 깊은 상상...+... = 좋은 시 빚기 2016-12-12 0 2700
24 시는 류행가 가사가 옳다?... 아니다!... 2016-12-12 0 2611
23 시를 "감춤"과 "드러냄"의 사이에서 맛갈스레 빚어야... 2016-12-12 0 2490
22 시인은 늘 예민한 촉수로 훌륭한 시를 빚기 위해 정진해야... 2016-12-12 0 2601
21 시쓰기는 "참 나를 찾고자"하는 고행이다... 2016-12-12 0 2597
20 시인도 "완전무장"을 해야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6-12-12 0 2626
19 "썩을 놈! 어떻게 요런 시를 다 썼을깜?!..." 2016-12-11 0 2825
18 시작은 "가장 쉬운 말로, 최대한 짧게, 가장 깊은 울림"으로... 2016-12-11 0 2613
17 누가 뭐라고 해도 시는 시인이 쓰는것... 2016-12-11 0 2696
16 참 시인 되자면... 2016-12-11 0 2737
15 시 "승무"를 삭히는데 3년이나 걸리다... 2016-12-11 0 2452
14 <술> 시모음 2016-12-11 0 2568
13 [시문학소사전] - 실존주의란?... 2016-12-11 0 4543
12 詩作 잘하기와 관찰 잘하기... 2016-12-10 0 2982
11 詩人은 관찰력과 상상력이 진부해서는 절대 안된다... 2016-12-09 0 2532
‹처음  이전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