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적 변용과 형상화
2015년 04월 20일 16시 22분  조회:4075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적 변용과 형상화 
                            -문병란(조선대교수,시인) 


요즈음 양산되는 시들을 보면 초보자이든 이력을 쌓은 
경우든 시와 산문이 구분되지 않은 시적 해체를 보게 된 
다. 의도적 해체나 반시운동은 그 나름대로 변혁 의지쯤 
으로 볼 수 있으나 수필의 감상을 행과 연으로 전개했다 
고 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저 조잡하기 이를 데 없는 잡 
문적 성격의 수시수상 낙서글 같이 뒤죽박죽 엉망진창을 
가지고 실험시, 새로운 시 떠들어도 난처한 일이다. 
소설 한권으로 쓸 것을 짧은 시 한 편으로 쓴다면 전적으 
로 시의 생명은 '함축적표현'1)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함축, 그것이야말로 시의 생명이며 비법일 것이다. 

시적변용과 형상화 즉 시 만드는 기법에 대해서 
이근모 시인의 '노을' 이라는 시를 감상하면서 췌언을 
더할까 한다. 

'변용'이란 일종의 데포르마시옹(deformation)으로 미술 
용어 이기도 하다. 대상의 자연형태를 재현하는 것이 아니 
라 작가의 주관에서 모양이나 형태를 의식적으로 확대하 
거나 변개하여 표현하는 그 기법을 문장이나 시문에서 
차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30년 모더니즘 운동에 참여 
한 박용철 시인의 ≪시적변용≫ 이란 평론이 그 한 예가 
되겠다. 

리어카 바퀴에 감겨있던 노을 
불꺼진 방 어둠을 갉아 먹는다 
<노을의 첫연> 

이 싯구를 산문적으로 이해한다면 어리석은 헛수고에 
그친다. 불이 어둠을 어떻게 갉아 먹는가. 이는 주관적 
정서적 해석을 통해 실감을 부여한 것이다. 이런 표현이 
지나칠 때 난해성이 오지만 적당할 때 수많은 사실적 설 
명과 논리적 사고를 함축적으로 표현하여 갉아먹는다고 
표현한 것이다. 

가장 오래된 뇌세포만이 
뚜렷한 흔적으로 남아 
생글생글 웃음짓는 홍안같이 
서산 등선마루에 걸친 노을 
<노을 제2연> 

마치 수술대 위에 누워있는 마취된 환자의 흐릿한 몽환 
상태를 느끼게 하는 함축적 표현으로 ‘노을’을 정서적으 
로 형상화 했다. 이 시 한 편만으로도 그가 만만찮은 
T.S.엘리어트를 졸업한 모던한 시학도임을 직감케 한다. 

읊으는 시와 만드는 시, 자연발생적 인습의 감상시와 주 
지적 창조적 생각하는 시 의미하는 시가 아니라 존재하 
는 시 현대적 모더니티란 흉내 낸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시사를 관류하는 수많은 업적의 결과물로써 시삼백에 
사무사의 경지에 이르듯 선인들의 명시 몇 백편을 줄줄 
이 외워야 깨치는 시미학의 경지가 있다. 

이근모 시인은 야무지게 터를 닦아 적어도 자연발생적 
인습적 감상배설의 푸념이나 넋두리의 경지를 벗어나 시 
적 알맹이를 만지는 그 경지에 접근했음을 작품으로써 
말해주고 있다. 

<노을>의 끝부분은 다음과 같다. 

팔고 남은 생선 한 마리 
리어카 좌판에서 뒹굴고 
석양에 지친 그림자 드리우며 
문지방 들어서는 아들 

치매 엄마 눈동자엔 
첫돌 맞은 모습만이 생생할 뿐 
파란중첩 삶의 애환 
노을 저편으로 달린다. 
<노을 끝부분> 

위의 시는 누구의 흔적도 없이 오직 이근모의 <노을>이 
다. 마치 반고흐의 그림을 보듯 어질어질하다. 필자는 이 
것을 시적변용이라 한다. T.S.엘리엇 가라사대 '삼류 시 
인은 모방하고, 일류 시인은 표절한다'고 했던가. 서투른 
흉내는 이류가 되지만 감쪽같이 훔쳐먹고 완전히 소화 
하여 피만들고 똥사버리는 기똥찬 천재는 표절(훔치기) 
하는 것일까. 이근모를 천재라 한다고서 큰일날 일은 아 
니지 않는가. 병사가 전쟁터에 나가서 이기려면 신무기가 
필요하듯이 경쟁이 필요한 세상에 내놓는 시이라면 신무기 
하나쯤 있어야 한다. 당신의 신무기는 무엇입니까? 물으면 
이것이다 내놓을 시가 있어야 시를 쓰는 당위성이 있을 것 
이다. '자인'의 시가 아니라 '졸렌'2) 의 시라고 만드는 시로 
나아가려는 그의 모더니티에 대하여 다시 한번 기대를 건다. 

주1) 
함축적표현: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내면에 지니고 있는 아름다움, 
흔히 시에서 말하는 내포적 의미나 metaphor기능을 말한다. 

주2) 
자인(Sein)은 독일어로 존재. sollen은 당위의 뜻.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43 시인 - 朴龍喆 2015-04-20 0 5128
442 시적 마술(변용) - 알베르 베갱 2015-04-20 0 4767
441 대상의 고유한 특성 잡기와 시적 변용 2015-04-20 0 4491
440 시적 변용과 형상화 2015-04-20 0 4075
439 철학적 사유의 시적 변용 2015-04-20 0 4507
438 박용철 시론을 중심으로 2015-04-20 0 4691
437 詩야 나와 놀아보자... 2015-04-19 0 4651
436 이규보 시론 2015-04-19 0 5283
435 시로 쓴 시론 및 시어의 특성 2015-04-19 1 4628
434 詩로 쓴 詩論 2015-04-19 0 4852
433 현대시의 공감의 문제 2015-04-19 0 4736
432 창조적 시론을 위하여 2015-04-19 0 4590
431 김춘수 / 이승하 2015-04-19 0 5270
430 녀성해방출사표 시인 - 高靜熙 2015-04-19 0 4878
429 민중시인, 옥중시인 - 김남주 2015-04-19 0 5039
428 <길> 시모음 2015-04-19 0 4782
427 고대 그리스 비극시인 - 아이스킬로스 2015-04-19 0 5310
426 고대 그리스 3대 비극시인 2015-04-19 0 5393
425 고대 그리스 비극시인 - 에우리피데스 2015-04-19 0 5462
424 <바보> 시모음 2015-04-19 0 4693
423 <한글> 시모음 2015-04-19 0 4830
422 <소> 시모음 2015-04-19 1 4732
421 꾸바 시인, 혁명가 - 체 게바라 2015-04-19 0 4129
420 <아내> 시모음 2015-04-19 1 4876
419 <자본주의> 시모음 2015-04-19 0 4816
418 <꽃씨> 시모음 2015-04-19 0 4140
417 皮千得 시모음 2015-04-19 0 4880
416 <이름> 시모음 2015-04-19 0 4738
415 청록파시인 -박목월 2015-04-17 0 4976
414 청록파 시인들 시세계 2015-04-17 0 4585
413 청록파시인 - 박두진 2015-04-17 0 4815
412 청록파시인 - 조지훈 2015-04-17 0 4961
411 참여시인 - 김수영 2015-04-17 0 4633
410 저항시인 - 심훈 2015-04-17 0 4996
409 심훈 시모음 2015-04-17 2 6003
408 <등산> 시모음 2015-04-17 0 6544
407 <동그라미> 시모음 2015-04-17 0 4548
406 <자연> 시모음 2015-04-17 0 4656
405 <하루살이> 시모음 2015-04-17 0 4422
404 <흙> 시모음 2015-04-17 0 4478
‹처음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