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숟가락> 시모음
2018년 02월 11일 01시 32분  조회:2432  추천:0  작성자: 죽림
다가오는 설명절, 중국 산시에 찾아온 명절 분위기!


<숟가락에 관한 시 모음>  

+ 외할머니의 숟가락 

외갓집은 찾아오는 이는 누구나 
숟가락부터 우선 쥐여주고 본다 
집에 사람이 있을 때도 그렇지만 
사람이 없을 때도, 집을 찾아온 이는 누구나 
밥부터 먼저 먹이고 봐야 한다는 게 
고집 센 외할머니의 신조다 
외할머니는 그래서 대문을 잠글 때 아직도 숟가락을 쓰는가 
자물쇠 대신 숟가락을 꽂고 마실을 가는가 
들은 바는 없지만, 그 지엄하신 신조대로라면 
변변찮은 살림살이에도 집이라는 것은 
누구에게나 한 그릇의 따순 공기밥이어야 한다 
그것도 꾹꾹 눌러 퍼담은 고봉밥이어야 한다 
빈털터리가 되어 십년 만에 찾은 외갓집 
상보처럼 덮여 있는 양철대문 앞에 서니 
시장기부터 먼저 몰려온다 나도 
먼길 오시느라 얼마나 출출하겠는가 
마실간 주인 대신 집이 
쥐여주는 숟가락을 들고 문을 딴다 
(손택수·시인, 1970-) 


+ 숟가락 

숟가락을 드는데 
어제는 
누가 사용했을까? 
누구의 입에 들어갔던 것일까? 
사용한 자국도 없이 
잘 씻기고 
반짝반짝 닦여서 
얇은 종이에 싸여 있지만, 
입과 입을 연결시키며 
우리들 모두 
한솥밥 나눠 먹는 
형제들로 만들고 싶어 
식탁 위에 올려져 있는 것은 아닌가. 

오늘따라 
밥을 뜨는 내 숟가락에는 
훈훈한 사랑이 구수하게 솟아나며 
내 입맛을 돋우는 것이었다. 
(박일·시인, 1969-) 


+ 목이 부러진 숟가락 

어머니는 목이 부러진 
내 알루미늄 숟가락을 버리지 않으셨다 
부뚜막 작은 간장종지 아래에다 놔두셨는데 
따뜻해서 갖고 놀기도 좋았다 눈두덩이에도 대보고 
배꼽 뚜껑을 만들기도 했다 
둥근 조각칼처럼 생겼던 손잡이는 
아끼기까지 하셨다 고구마나 감자를 삶을 때 
외길로 뚫고 간 벌레의 길을 파내시는 데 
제격이었기 때문이었다 
어머니를 찾아뵐 때마다, 내 몸은 
탄저병에 걸린 사과나 굼벵이 먹은 감자가 되어 
한 켜 껍질이 벗겨지는 것 같다 
숫제, 내가 한 마리 벌레여서 
밤고구마나 당근의 단단한 속살을 파먹고 있고 
내 숟가락은 아직 생기지도 않았고 
어머니는 외할머니 댁 추녀 밑에서 소꿉놀이를 하고 있는, 
그런 벌레 알 같은 생각을 꼼지락거리기도 한다 
숟가락 손잡이로 둥글고 깊게 
나를 파고 나를 떼내다가 
지금은 없는 간장종지 아래에 
지금은 없는 내 목 부러진 숟가락을 
모셔두고 온다 
(이정록·시인, 1964-) 


+ 딱 한 가지 

숟가락 하는 일은 
딱 한 가지 

하루 종일 
놀다가 
아침 저녁 잠깐씩 
밥과 국을 떠 
입에 넣는 일밖에 없다. 

그런데 
그 일 한 가지가 
사람을 살리네 
목숨을 살리네 

고마운 숟가락 
밥숟가락! 
(엄기원·아동문학가, 1937-) 


+ 숟가락 

너는 참 좋은 일만 한다 
내 몸에 좋은 것을 넣어 주려고 
매일 매일 내 입 가까이 
와서는 한 발 들여놓았다가 
다시 나가지 

아예 쑥 들어왔다가 
놀다 가는 것도 아니고 
먹을 것만 쏘옥 넣어 주고 
슬쩍 사라졌다가는 
다시 와서 한 입 주고 가지  

입맛 없을 때는 먹기 싫은데  
꼭 한 입 넣어 주고야 마는 너는 
참 대단한 녀석이야 
식사가 끝나면 시치미 뚝 떼고 
네 자리에 
얌전하게 들어가  
다음을 기다릴 줄도 아는 넌 
역시 멋진 녀석이야 
(한선자·아동문학가) 


+ 떡잎  

씨앗의 숟가락이다 

뜨겁지 않니? 
햇살 한 숟갈 

차갑지 않니? 
봄비 한 숟갈 

씨앗의 첫 숟가락이다 

봄이 아끼는 
연둣빛 숟가락 
(조영수·아동문학가) 


+ 수저  

아이가 두 시간째 주방에서 달그락거리고 있다 
몸져누워 먼 세상일인 듯 듣는 아득히 낯선 소리 
서툴게 부딪는 숟가락 소리, 
살아있다는 건 누워서 듣는 
달그락거리는 수저소리쯤 될까 
죽은 후에도 저 하나쯤 가져가고 싶은 소리 

숨이 끊어진 뒤에 마지막까지 남는 건 청각이라는데 
문득, 아버진 무슨 소릴 가져갔을까 궁금하다 

호흡기 떼기도 전에, 
글쎄, 시트 밑에서 통장이 여섯 개나 나왔는데 
우리도 모르는 통장이, 
관리는 누가 하냐 첫째는 멀리 있어 안 되고 
둘째는 좀 불안하고, 너는 생전에 아버지 애 먹여서 안 되고, 
아버지의 일생을 가볍게 들었다 놨다, 

마지막까지 통장통장 하던 소리, 육남매 덜걱대는 소리, 
태어나서 시작되고 
죽을 때 거두어가는 게 수저소리일 텐데 
그 소리 대신, 
결국 아버지는 자신의 통장을 다 가져가신 셈이다 
(이규리·시인, 1955-)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30 윤동주묘 발견 당시 "묘비는 제대로 서있었다"... 2017-09-15 0 2319
729 시의 재료는 바로 시인 자신이다... 2017-09-15 0 2203
728 미국 시적 스타일 실험영화 감독, 시인 - 제임스 브로톤 2017-09-15 0 3378
727 미국 실험영화 감독, 시인 - 크리스토퍼 맥클레인 2017-09-15 0 2976
726 미국 비트시인 - 코소 2017-09-15 0 3289
725 미국 시인 비트운동의 지도자 - 케루악 2017-09-15 0 3161
724 [시문학소사전] - "비트"문학이란?... 2017-09-15 0 3572
723 만약 당신과 함께 지구별 한 골목에서 세탁소를 연다면... 2017-09-14 0 3408
722 "새는 자기의 자취를 남기지 않는다"... 2017-09-14 0 2355
721 시인은 시에서 때론 목소리를 낮출줄도 알아야 한다... 2017-09-14 0 2020
720 이상시인 문학의 매력은 "모호함"... 2017-09-14 0 2246
719 "윤동주 전문가" - 마광수님 2017-09-14 0 2191
718 마광수님은 "값비싼 대가"로 통시적 진실를 치렀다... 2017-09-14 0 2131
717 시쓰기는 남자가 녀자를, 녀자가 남자를 꼬시는것과 같다... 2017-09-13 0 2425
716 시를 쓰는것은 집을 짓는것과 같다... 2017-09-13 0 2102
715 "윤동주는 기적, 우리 문학 축복"="윤동주처럼 멋진 시인이 꿈" 2017-09-12 0 2286
714 윤동주 "별 헤는 밤"에서의 "패, 경, 옥"은 "페이, 징, 위"로... 2017-09-12 0 2540
713 "600년보다 더 길고 긴 60년"... 2017-09-11 0 1998
712 "평생을 같은 수컷의 씨를 품는 암늑대란 없다"... 2017-09-09 0 2164
711 마광수님과 "대추 한알" 2017-09-09 0 2757
710 마광수님의 자유로운 령혼과 죽음앞에서... 2017-09-09 0 2330
709 "시대의 狂人" - 마광수님은 시인이였다... 2017-09-09 0 2325
70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글은 쉽게 써내는것 명문장이야... 2017-09-09 0 2312
707 {쟁명} - 동시도 "하이퍼동시"로 쓸수 없다?... 있다!... 2017-09-08 0 1980
706 "세상에서 가장 긴 강은 '엄마의 젖강'인것을"... 2017-09-08 0 2039
705 "시인"을 마음대로 사고 파는것은 절대 용납할수 없다... 2017-09-08 0 2101
704 진정한 프로시인은 내용과 형식을 절제, 일치하게 쓰는 시인... 2017-09-07 0 2335
703 시는 운률도 적절히 살리고 여백의 미도 적당히 활용할줄도... 2017-09-07 0 2369
702 "문단의 이단아" 마광수님은 항상 "자유인"이 되고싶어 했다... 2017-09-07 0 2303
701 "별것도 아닌 인생"길에서 미술도 열심히 좋아했던 마광수님 2017-09-07 0 2348
700 마광수, 그는 도대체 누구인가?!... 2017-09-07 0 3879
699 마광수-국문학 력사상 처음으로 윤동주시인의 모든 시를 분석 2017-09-07 0 3937
698 구수한 "배추국"과 마광수님의 "배출구"는 어디?!... 2017-09-07 0 2342
697 "솔직한 시인" 윤동주와 "부끄러움" 찾아낸 마광수 2017-09-07 0 2461
696 시교육은 권위주의적인 주입식 일방적 통로와 결별해야... 2017-09-04 0 2480
695 독일 시인 - 베르톨트 브레히트 2017-09-03 0 3965
694 시인들이여, "낯설게 하기"는 어디에서 어떻게 왔을가... 2017-09-03 0 3945
693 "가져오기주의"와 "받아먹기주의"와 그리고 "민족적인것주의" 2017-09-02 0 2121
692 동시의 예술은 오로지 이미지변형, 그 표준;- 하하하 없단다... 2017-09-02 0 2288
691 시에서 낯설음의 이미지용법은 곧 시적 해방이며 자유이다... 2017-09-02 0 2387
‹처음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