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숟가락> 시모음
2018년 02월 11일 01시 32분  조회:2436  추천:0  작성자: 죽림
다가오는 설명절, 중국 산시에 찾아온 명절 분위기!


<숟가락에 관한 시 모음>  

+ 외할머니의 숟가락 

외갓집은 찾아오는 이는 누구나 
숟가락부터 우선 쥐여주고 본다 
집에 사람이 있을 때도 그렇지만 
사람이 없을 때도, 집을 찾아온 이는 누구나 
밥부터 먼저 먹이고 봐야 한다는 게 
고집 센 외할머니의 신조다 
외할머니는 그래서 대문을 잠글 때 아직도 숟가락을 쓰는가 
자물쇠 대신 숟가락을 꽂고 마실을 가는가 
들은 바는 없지만, 그 지엄하신 신조대로라면 
변변찮은 살림살이에도 집이라는 것은 
누구에게나 한 그릇의 따순 공기밥이어야 한다 
그것도 꾹꾹 눌러 퍼담은 고봉밥이어야 한다 
빈털터리가 되어 십년 만에 찾은 외갓집 
상보처럼 덮여 있는 양철대문 앞에 서니 
시장기부터 먼저 몰려온다 나도 
먼길 오시느라 얼마나 출출하겠는가 
마실간 주인 대신 집이 
쥐여주는 숟가락을 들고 문을 딴다 
(손택수·시인, 1970-) 


+ 숟가락 

숟가락을 드는데 
어제는 
누가 사용했을까? 
누구의 입에 들어갔던 것일까? 
사용한 자국도 없이 
잘 씻기고 
반짝반짝 닦여서 
얇은 종이에 싸여 있지만, 
입과 입을 연결시키며 
우리들 모두 
한솥밥 나눠 먹는 
형제들로 만들고 싶어 
식탁 위에 올려져 있는 것은 아닌가. 

오늘따라 
밥을 뜨는 내 숟가락에는 
훈훈한 사랑이 구수하게 솟아나며 
내 입맛을 돋우는 것이었다. 
(박일·시인, 1969-) 


+ 목이 부러진 숟가락 

어머니는 목이 부러진 
내 알루미늄 숟가락을 버리지 않으셨다 
부뚜막 작은 간장종지 아래에다 놔두셨는데 
따뜻해서 갖고 놀기도 좋았다 눈두덩이에도 대보고 
배꼽 뚜껑을 만들기도 했다 
둥근 조각칼처럼 생겼던 손잡이는 
아끼기까지 하셨다 고구마나 감자를 삶을 때 
외길로 뚫고 간 벌레의 길을 파내시는 데 
제격이었기 때문이었다 
어머니를 찾아뵐 때마다, 내 몸은 
탄저병에 걸린 사과나 굼벵이 먹은 감자가 되어 
한 켜 껍질이 벗겨지는 것 같다 
숫제, 내가 한 마리 벌레여서 
밤고구마나 당근의 단단한 속살을 파먹고 있고 
내 숟가락은 아직 생기지도 않았고 
어머니는 외할머니 댁 추녀 밑에서 소꿉놀이를 하고 있는, 
그런 벌레 알 같은 생각을 꼼지락거리기도 한다 
숟가락 손잡이로 둥글고 깊게 
나를 파고 나를 떼내다가 
지금은 없는 간장종지 아래에 
지금은 없는 내 목 부러진 숟가락을 
모셔두고 온다 
(이정록·시인, 1964-) 


+ 딱 한 가지 

숟가락 하는 일은 
딱 한 가지 

하루 종일 
놀다가 
아침 저녁 잠깐씩 
밥과 국을 떠 
입에 넣는 일밖에 없다. 

그런데 
그 일 한 가지가 
사람을 살리네 
목숨을 살리네 

고마운 숟가락 
밥숟가락! 
(엄기원·아동문학가, 1937-) 


+ 숟가락 

너는 참 좋은 일만 한다 
내 몸에 좋은 것을 넣어 주려고 
매일 매일 내 입 가까이 
와서는 한 발 들여놓았다가 
다시 나가지 

아예 쑥 들어왔다가 
놀다 가는 것도 아니고 
먹을 것만 쏘옥 넣어 주고 
슬쩍 사라졌다가는 
다시 와서 한 입 주고 가지  

입맛 없을 때는 먹기 싫은데  
꼭 한 입 넣어 주고야 마는 너는 
참 대단한 녀석이야 
식사가 끝나면 시치미 뚝 떼고 
네 자리에 
얌전하게 들어가  
다음을 기다릴 줄도 아는 넌 
역시 멋진 녀석이야 
(한선자·아동문학가) 


+ 떡잎  

씨앗의 숟가락이다 

뜨겁지 않니? 
햇살 한 숟갈 

차갑지 않니? 
봄비 한 숟갈 

씨앗의 첫 숟가락이다 

봄이 아끼는 
연둣빛 숟가락 
(조영수·아동문학가) 


+ 수저  

아이가 두 시간째 주방에서 달그락거리고 있다 
몸져누워 먼 세상일인 듯 듣는 아득히 낯선 소리 
서툴게 부딪는 숟가락 소리, 
살아있다는 건 누워서 듣는 
달그락거리는 수저소리쯤 될까 
죽은 후에도 저 하나쯤 가져가고 싶은 소리 

숨이 끊어진 뒤에 마지막까지 남는 건 청각이라는데 
문득, 아버진 무슨 소릴 가져갔을까 궁금하다 

호흡기 떼기도 전에, 
글쎄, 시트 밑에서 통장이 여섯 개나 나왔는데 
우리도 모르는 통장이, 
관리는 누가 하냐 첫째는 멀리 있어 안 되고 
둘째는 좀 불안하고, 너는 생전에 아버지 애 먹여서 안 되고, 
아버지의 일생을 가볍게 들었다 놨다, 

마지막까지 통장통장 하던 소리, 육남매 덜걱대는 소리, 
태어나서 시작되고 
죽을 때 거두어가는 게 수저소리일 텐데 
그 소리 대신, 
결국 아버지는 자신의 통장을 다 가져가신 셈이다 
(이규리·시인, 1955-)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30 목련아, 나와 놀자... 2017-06-09 0 2844
529 시는 메모에서 완성하기까지 고심에 련마를 걸쳐야... 2017-06-09 0 2407
528 동시인은 "스스로 어린이로 살아가는" 사람이다... 2017-06-09 0 2232
527 시인은 관습적으로 길들여진 자동화된 인식을 버려야... 2017-06-09 0 2292
526 시인은 시제목을 정할 때 신경을 써야... 2017-06-09 0 2583
525 문학성과 창조성이 없는 글은 수필도 아니며 죽은 글이다... 2017-06-09 0 2114
524 인공지능시대 미래를 준비하는 선생님들의 자세는?... 2017-06-02 0 2918
523 인간 글쓰기 지위 일락천장 추락되다... 2017-06-02 0 2797
522 인공지능 번역은 어처구니없는 번역... 2017-06-02 0 2863
521 세상은 교과서처럼 흘러가지 않는다... 2017-06-02 0 2158
520 인공지능 왈; "이 장기를 수술해 잘라내라".../수술의사: ???... 2017-06-02 0 2407
519 시인들이여, 정신 차리라! 로봇트 세계 최초 시집 발간했다!!! 2017-06-02 0 2720
51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우리 말 공부, 난제를 풀며 공부해야... 2017-06-01 0 3075
517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3) 2017-06-01 0 3654
516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2) 2017-06-01 0 3821
515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1) 2017-06-01 0 3856
514 삶이란 련습없이 태여나서 실습없이 사라진다... 2017-05-31 0 2637
513 미래를 념려하다가 결국 현재와 미래를 다 놓쳐버리다... 2017-05-31 0 2367
512 수필은 원칙적으로 산문으로 쓰여져야... 2017-05-31 0 2682
511 [고향문학인소식]-원로시인 최룡관 고향 문학계 소식 전하다... 2017-05-31 0 2437
510 "수필쟁이"들이여, 수필이라는걸 알고나 씁니껴?!...(2) 2017-05-31 0 3090
509 "수필쟁이"들이여, 수필이라는걸 알고나 씁니껴?!... 2017-05-31 0 2583
508 시의 본질적인 문제를 인공지능이 파악할수 없다... 2017-05-28 0 2397
507 시인이라면 초고를 쓰는 고통을 감내할줄을 알아야... 2017-05-28 0 2594
506 시도 예술도 모르는 사회는 배부른 돼지의 세계이다... 2017-05-28 0 2883
505 시인은 인공지능이 시를 쓰든 말든 신경쓰지 말고 시를 쓰라... 2017-05-28 0 2684
504 수필쓰기는 자신의 삶을 가치롭게 꽃피우는 자각행위이다... 2017-05-28 1 2626
503 시간의 그 끝머리는 상처를 치유해주는 하나의 과정과 방식... 2017-05-28 1 2871
502 소금은 죽음에서 피여나는 생명의 꽃이다... 2017-05-28 0 2674
50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우리 말(어원)의 유래?... 2017-05-24 0 2942
500 시문학을 일상의 생활속에서 이어가는 삶은 아름답다... 2017-05-24 0 2581
499 생명은 타지 않으면 썩는다 / 박문희 2017-05-24 0 2707
498 시는 신비한 언어로 시행사이에 사색적인 공간을 엮어줘야... 2017-05-24 0 2697
497 시의 제목이 작품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2017-05-23 0 3132
496 시인은 쓰고자 하는것을 마음속으로 먼저 그려보아라... 2017-05-23 0 3374
495 시를 랑송할때는 시인의 느낌과 청중의 공감을 터득해야... 2017-05-23 0 3954
494 "소리없는 아우성"으로 시와 씨름한 독일 시인 - 파울 첼란 2017-05-23 0 3089
493 허두남 우화시 고찰 / 최룡관 2017-05-23 0 2643
492 동시인들은 아이들을 위하여 랑송시 창작에 몰두해야... 2017-05-22 0 2136
491 시는 이미저리의 원형과 수사학적 기법을 잘 활용해야... 2017-05-22 0 2653
‹처음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