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1,000억 재산이 그 사람 시 한줄만도 못해"...
2018년 04월 06일 21시 27분  조회:2895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인 '백석'과 '자야'의 사랑이야기

 

일제시대 시인 백석은 천재적인 재능과 훤칠한 외모로 당시 모든 여성들의 선망의 대상이었습니다. 

설에 의하면 그가 길을 지나가면 여인들이 자지러졌을 정도라 했습니다.

그가 가장 사랑했던 여인인, 기생 김영한과의 러브스토리는 '로미오와 줄리엣' 만큼이나 가슴이 애립니다.

백석은 함흥 영생여고에서 영어교사로 재직하던 1936년 회식 자리에 나갔다가
기생 김영한을 보고 첫 눈에 반하게 됩니다.

이 잘 생긴 로맨티스트 시인은 그녀를 옆자리에 앉히고는 손을 잡고, 

"오늘부터 당신은 영원한 내 여자야. 
죽음이 우리를 갈라놓기 전까지 우리에게 이별은 없어."라는 유명한 말을 남깁니다.

백석은 이백의 싯귀에 나오는 '자야(子夜)'라는 애칭을 김영한에게 지어줬다고 합니다.

그렇게 둘은 첫눈에 사랑에 빠져 연인이 됩니다.

그러나 이들 사이에도 장애물이 등장합니다. 

유학파에, 당대 최고의 직장인 함흥영생여고 영어선생 이었던 백석의 부모는 기생과 동거하는 아들을 탐탁치 않게 여겼고,

강제로 다른 여자와 결혼을 시켜 둘의 사랑을 갈라 놓으려 합니다. 

백석은 결혼 첫날밤에 그의 연인 자야에게로 다시 돌아갑니다.

그리고 자야에게 만주로 도망을 가자고 제안합니다.

그렇지만 자야는 보잘것 없는 자신이 혹시 백석의 장래에 해가 되진 않을까 하는 염려로 이를 거절합니다. 

백석은 자야가 자신을 찾아 바로 만주로 올 것을 확신하며 먼저 만주로 떠납니다.

만주에서 홀로된 백석은 자야를 그리워하며 그 유명한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를 짓습니다.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밤 푹푹 눈이 내린다.

나타샤를 사랑하고
눈은 푹푹 날리고
나는 혼자 쓸쓸히 앉아 소주(燒酒)를 마신다.

소주(燒酒)를 마시며 생각한다.

나타샤와 나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 타고 산골로 가자.

출출이 우는 깊은 산골로 가 마가리에 살자.

눈은 푹푹 내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니올 리 없다.

언제 벌써 내 속에 
고즈녁히 와서 이야기한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서
버리는 것이다.

눈은 푹푹 내리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데서 흰 당나귀도 

오늘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을 것이다.


그러나 잠시 동안이라고 믿었던 이별은 영원한 이별이 되고 맙니다. 

해방이되고 백석은 자야를 찾아 만주에서 함흥으로 갔지만 자야는 이미 서울로 떠나버렸습니다. 

그 후 38선이 그어지고 6.25가 터지면서 둘은 각각 남과 북으로 갈라져 다시는 만나지 못하게 됩니다. 

이후 백석은 평생을 자야를 그리워하며 북에서 1996년 사망하게 됩니다.

남한에 혼자 남겨진 자야는 대한민국의 3대 요정 중 하나인 대원각을 세워 엄청난 재력가로 성장합니다.

훗날 자야는 당시 시가 1,000 억원 상당의 대원각을 조건없이 법정 스님에게 시주를 합니다.

그 대원각이 바로 서울 성북동에 위치한 사찰 '길상사'입니다.

평생 백석을 그리워했던 자야는 폐암으로 1999년 세상을 떠납니다.

그녀가 떠나기 전 1,000억원 상당의 재산을 기부했는데 아깝지 않냐란 기자의 질문에 자야는 이렇게 대답했다고 합니다.

"1,000억 재산이 그 사람 시 한 줄만도 못해." 

"내가 죽으면 화장해 길상사에 눈 많이 내리는 날 뿌려달라." 고 하니 
백석의 시처럼 눈이 푹푹내리는 날 백석에게 돌아가고 싶었나 봅니다.

첫눈이 양탄자처럼 쌓이는 새벽이 오면....

응앙응앙 가픈 숨 몰아쉬는 흰나귀 타고 찾아올 자야를 기다리던 백석의 사랑에 가슴이 아려옵니다. 

사랑하지만 떠나야 하고 때론 그리워해도 만날 수 없는 많은 사람들 중에...

우린 사랑하는 사람들과 같이 있다는 큰 기쁨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더 큰 욕심을 부리며 사는건 아닌지 반성해봅니다. 

(자~ 백석과 김영한 그리고 보고 싶은 법정스님과
서울 북악산 기슭에 위치한 옛 대원각 
현 길상사의 모습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90 "자그마한 세계" 2018-06-14 0 2545
108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공상 2018-06-14 0 5121
1088 "비가 온다야 개미야 대문 걸어 잠궈라"... 2018-06-13 0 2597
108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공 2018-06-12 0 4647
1086 "꽃씨가 되여봄은..." 2018-06-12 0 2383
108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래일은 없다 2018-06-11 0 3525
1084 "우리는 '바다'에 관한 시를 쓸줄 모르외다"... 2018-06-11 0 2633
108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삶과 죽음 2018-06-11 1 9091
108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초한대 2018-06-10 0 5354
1081 "할머니가 흘러간 그 시간의 탑이지요"... 2018-06-09 0 2724
1080 중국인민해방군 군가, 조선인민군행진곡 작곡가 - 정률성 2018-06-08 0 5368
1079 동시는 개구쟁이 애들처럼 써라... 2018-06-07 0 2617
1078 "너 이름 뭐니...." 2018-06-07 0 2704
1077 별, 별, 별... 2018-06-06 0 2573
1076 동시창작 다양화를 두고 / 김만석 2018-06-03 0 2749
1075 "삶의 꽃도 무릎을 꿇어야 보인다"... 2018-06-02 0 2553
1074 "나무들이 작은 의자를 참 많이도 만든다"... 2018-06-02 0 2605
1073 "엄마와 아빠는 늘 바쁜 바다랍니다" 2018-05-31 0 2717
1072 "쌍둥밤은 엄마하고 냠냠"... 2018-05-30 0 2495
1071 "소나무는 꿈을 푸르게 푸르게 꾸고 있다"... 2018-05-30 0 2910
1070 "햇살 한 줄기 들길로 산책 나왔다"... 2018-05-28 0 2569
1069 "조선의 참새는 짹짹 운다" 2018-05-26 0 2555
1068 천재시인 李箱의 련작시 "오감도 제15호" 뮤지컬로 태여나다 2018-05-24 0 2860
1067 맹자 명언 2018-05-22 0 4087
1066 노자 도덕경 원문 . 해설 2018-05-22 0 5103
1065 노자(老子) 도덕경 명언 명담 2018-05-22 0 3777
1064 노자 도덕경 명언 모음 2018-05-22 0 6646
1063 중국 노나라 유교 시조 사상가 교육자 - 공구(공자) 2018-05-22 0 7009
1062 중국 춘추시대 현자 - 노담(노자) 2018-05-22 0 5042
1061 "돌멩이를 아무데나 던지지 마세요"... 2018-05-22 0 2550
1060 김철호 / 권혁률 2018-05-16 0 2835
1059 미국 녀류화가 - 그랜드마 모제스 2018-05-04 0 5167
1058 청나라 화가, 서예가 - 금농 2018-05-04 0 4664
1057 청나라 가장 유명한 양주팔괴 서예가들 2018-05-04 0 2800
1056 "사랑의 깊이는 지금은 모릅니다"... 2018-05-04 0 2605
1055 미국 시인 - 칼릴 지브란 2018-05-04 0 4531
1054 박문희 시를 말하다(2) / 최룡관 2018-05-02 0 2971
1053 박문희 시를 말해보다 / 김룡운 2018-05-02 0 3203
1052 "산노루" 와 "숫자는 시보다도 정직한것이었다"... 2018-04-26 0 2821
1051 축구세계, 시인세계... 2018-04-25 0 3381
‹처음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