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의 제목이 때때로 주제를 요약하거나 암시하게 한다...
2017년 06월 24일 23시 14분  조회:2427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의 감상기법] 


윤재순 


시 감상을 위한 몇가지 물음 

♠ 시의 올바른 감상을 위해서는 다음 몇 가지 
사항에 유의하여 감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시의 구조는 다음 세 가지에 의해 결정된다. 

이미지와 이미지의 연관,그리고 이미지들의 주제와의 관계 
리듬의 구성과 그것이 주제와 지닌 관계 
연과 연의 짜임새와 그것이 주제와 지닌 관계 

대부분의 시는 사건, 행동, 상황, 시대, 인물 혹은 어떤 관념들과 관련되어 있다. 이것들이 시가 지닌 관련(Context)을 이룬다. 이 관련은 흔히 시의 제목이나 첫 줄에 나타나 그 시의 존재 이유, 창작 동기 등을 밝힌다. 시의 문맥 속에서 화자는 어디에 자리하고 있나? 그는 혼자인가? 그가 그러한 환경 속에 있음은 어떤 뜻이 있는가? 
화자는 누구인가? 다른 사람을 말하고 있는가, 아니면 어떤 사물에게 말하고 있는가? 혹은 자신에게 말하고 있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시는 왜 그리고 무엇이 시인으로 하여금 시를 쓰게 하였는가? 
시는 어떤 시대적 배경을 지니고 있는가? 
시는 어떤 역사적 상황에 관련되어 있는가? 

화자는 누구인가? 성별은? 이름이 있는가? 나이와 처지는? 
화자는 사건, 사물, 사람에게 또는 사상(관념)에 대해 어떤 생각이나 느낌을 갖고 있는가? 
화자는 사람인가, 동물인가, 아니면 사물인가? 사람이라면 어떤 특징을 지녔고, 동물이나 사물이라면, 그것에 감정 이입(感情移入) 작용이 일어나 있는가? 
화자가 이러저러한 생각, 느낌을 갖게 된 동기는 무엇인가? 그의 그러한 생각과 느낌은 보통 사람과 어떻게 같고, 또 다른가? 

시인은 어느 대상을 제시할 때,어떤 이미지를 쓰고 있는가? 여러 이미지 가운데 공통의 속성을 가진 것은 없는가? 여러 이미지들이 중심적인 주제나 감정에 집중되고 있는가? 서로 다른 여러 이미지들을 서로 연관 짓는 실마리는 없는가? 
여러 이미지들이 화자의 세계관이나 인생관에 어떤 인상,느낌을 부여하고 있는가? 이미지가 화자만이 특이하게 갖춘 행동,사고 방식을 나타내고 있지는 않은가? 
한 대상을 그려내고 있는 이미지가 그 대상을 대하는 일반 사람들의 전형적인 눈과 어떻게 다른가? 이미지가 한 사물에 특수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가? 
시 속에 특수한 말,말투,말버릇 같은 것은 없는가? 화자가 특별히 시적인 표현을 하여 특수한 효과를 올리고 있는 어구(Poetic diction)나 표현은 무엇인가? 특수한 말,말투가 화자와 주제에 관해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 운율과 시의 형식은 주제에 영향을 미친다. 
시가 지닌 운(韻,Rhyme)은 어떤 형식을 갖고 있는가? 그러한 운(韻) 형식은 시의 주제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리듬은 주제와 어떤 연관이 있는가? 혹,리듬이 시가 겉으로 드러내고 있는 의미와 어긋나 있지는 않은가? 만일 그렇다면,시는 풍자적인 내용을 담고 있을 것이다. 
시는 어떤 특수한 형식을 갖고 있는가? 각 연은 몇 개의 시행을 갖고 있는가? 각 연은 똑같은 수의 시행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연의 짜임새는 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연과 연의 관계는 주제를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가? 
각 시행은 독립적인 의미의 단위인가? 아니면,다른 시행과 엮어져 있는가? 시행의 짜임새는 주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시의 주제는 무엇인가? 독자가 포착한 시의 주제는 시의 중요 부분과 잘 어울리고 있는가? 
시에서 찾아낸 주제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를 시에서 제시할 수 있는가? 
시에서 찾아낸 주제가 다른 작품에서 흔하게 찾아 낼 수 있는 성질의 것들인가? 
시의 언어,이미지,운(韻),리듬 들이 찾아낸 주제를 뒷받침 할 수 있는가? 

제목은 때때로 주제를 요약하거나 암시하게된다.시에 따라서는 제목에 유념하면서 시를 읽을 만한 것이 있는데,가령 유치환의 '생명의 서',박두진의 '묘지송' 등은 직접 그 제목이 주제를 요약하거나 암시하는 구실도 하고 있음에 유의하자.이는 시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글의 내용과 제목 사이에는 어떤 상관 관계가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시에서 제목이 어떤 구실을 하며,주제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예)유치환 '생명의 서' 

제목이 어느 지역과 특별히 관련되어 그것을 특징짓고 있는가? 
예)김동환 '국경의 밤' 

제목이 어떤 사람을 특징짓고 있는가? 
예)'소년을 위한 목가' 

제목이 어떤 사물과 특별히 관련지어 있는가? 
예)서정주 '귀촉도',신경림 '갈대',김광섭 '성북동 비둘기' 

제목이 어떤 사물과 사건을 특징짓고 있는가? 
예)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제목이 시를 쓴 목적을 밝히고 있는가? 
예)'소년을 위한 

-----------------------------------------------------------------------

 

 

 

첫과 끝 
―김왕노 (1957∼ )

나에게도 내 몸의 첫인 손가락과 끝인 발가락이 있다.

나는 그러니 첫과 끝의 합작품이다.

나의 첫인 손을 내밀었다가 그 끝인 발로 이별하기도 했다.
이 수족으로 나는 한 여자에게 첫 남자와 끝 남자이기를 꿈꿨다.
나의 첫과 끝으로 사랑을 찾아가 내 사랑의 첫과 끝을 어루만졌다.

너도 너의 첫과 끝으로 나의 첫과 끝이 되곤 했다.

 

 

그첫과끝이있기에우리는부둥켜안고전율하고눈물이났다.

너는 너의 첫을 내게 주므로 나의 끝이기를 바랐다.


너의 첫 키스, 첫날밤, 첫 요리, 첫 꽃을 주어 나의 끝이기를 바랐다.

 

다가갈수록 자초지종인 듯 내게 주는 너의 첫
그 첫이 너의 끝으로 나의 첫으로 이어가는 징검다리인줄 안다.


이 시를 읽으면서 뜬금없이 고등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는 후배한테 들은 논술시험 채점 항목이 생각났다. 이해력, 분석력, 논리력, 창의력, 표현력. ‘나에게도 내 몸의 첫인 손가락과 끝인 발가락이 있다’라, 몸의 첫이 발가락이고 끝이 손가락일 수도 있지 않나? 첫 행에서 논리적 결함을 발견한 듯 갸웃거려지던 고개가 ‘나의 첫인 손을 내밀었다가 그 끝인 발로 이별하기도 했다’에서 이내 끄덕여진 때문인지 모른다. 시를 이런 식으로 분석해서 읽으면 안 되는데, 나쁜 버릇이다. 핑계를 대자면, 감정이입은커녕 독해가 안 되는 뉴에이지 시집이 드물지 않아 생긴 버릇이다. 시를 이해하는 코드가 내게 없는 게 아닌가, 겸허하게 한 수 배워보려고 시집 해설을 읽다가 ‘시도 이상한데 해설은 더 이상하네!’ 삐친 적도 여러 차례다. 그러다 보니 시가 무슨 말을 하는지 알아듣게만 쓰여도 반가울 지경이다. 표현이 혼돈이든 수렁이든 그 세계의 창의를 즐길 독자도 있을 테다만.

세상만사에는 처음이 있다. 우정도 사랑도 처음엔 얼마나 온전한가. 그렇지만 처음이 있으면 끝도 있다. 그 때문에 어떤 관계도 아예 시작하지 않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화자는 그 첫과 끝이 있기에 우리는 부둥켜안고 전율하고 눈물이 난단다. 이것이 마지막인 듯 사랑하라! 화자의 상대는 ‘다가갈수록 자초지종인 듯 너의 첫’을 준단다. ‘너의 첫 키스, 첫날밤, 첫 요리, 첫 꽃’, 그 ‘첫’의 신선함을 끝까지 잃지 않으려면 얼마만큼 긴장해야 하는 걸까. 씹을수록 감칠맛 나는 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30 목련아, 나와 놀자... 2017-06-09 0 2849
529 시는 메모에서 완성하기까지 고심에 련마를 걸쳐야... 2017-06-09 0 2408
528 동시인은 "스스로 어린이로 살아가는" 사람이다... 2017-06-09 0 2234
527 시인은 관습적으로 길들여진 자동화된 인식을 버려야... 2017-06-09 0 2293
526 시인은 시제목을 정할 때 신경을 써야... 2017-06-09 0 2583
525 문학성과 창조성이 없는 글은 수필도 아니며 죽은 글이다... 2017-06-09 0 2116
524 인공지능시대 미래를 준비하는 선생님들의 자세는?... 2017-06-02 0 2924
523 인간 글쓰기 지위 일락천장 추락되다... 2017-06-02 0 2798
522 인공지능 번역은 어처구니없는 번역... 2017-06-02 0 2863
521 세상은 교과서처럼 흘러가지 않는다... 2017-06-02 0 2161
520 인공지능 왈; "이 장기를 수술해 잘라내라".../수술의사: ???... 2017-06-02 0 2407
519 시인들이여, 정신 차리라! 로봇트 세계 최초 시집 발간했다!!! 2017-06-02 0 2721
51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우리 말 공부, 난제를 풀며 공부해야... 2017-06-01 0 3078
517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3) 2017-06-01 0 3654
516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2) 2017-06-01 0 3828
515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1) 2017-06-01 0 3856
514 삶이란 련습없이 태여나서 실습없이 사라진다... 2017-05-31 0 2637
513 미래를 념려하다가 결국 현재와 미래를 다 놓쳐버리다... 2017-05-31 0 2367
512 수필은 원칙적으로 산문으로 쓰여져야... 2017-05-31 0 2687
511 [고향문학인소식]-원로시인 최룡관 고향 문학계 소식 전하다... 2017-05-31 0 2437
510 "수필쟁이"들이여, 수필이라는걸 알고나 씁니껴?!...(2) 2017-05-31 0 3091
509 "수필쟁이"들이여, 수필이라는걸 알고나 씁니껴?!... 2017-05-31 0 2583
508 시의 본질적인 문제를 인공지능이 파악할수 없다... 2017-05-28 0 2397
507 시인이라면 초고를 쓰는 고통을 감내할줄을 알아야... 2017-05-28 0 2598
506 시도 예술도 모르는 사회는 배부른 돼지의 세계이다... 2017-05-28 0 2883
505 시인은 인공지능이 시를 쓰든 말든 신경쓰지 말고 시를 쓰라... 2017-05-28 0 2684
504 수필쓰기는 자신의 삶을 가치롭게 꽃피우는 자각행위이다... 2017-05-28 1 2626
503 시간의 그 끝머리는 상처를 치유해주는 하나의 과정과 방식... 2017-05-28 1 2871
502 소금은 죽음에서 피여나는 생명의 꽃이다... 2017-05-28 0 2680
50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우리 말(어원)의 유래?... 2017-05-24 0 2947
500 시문학을 일상의 생활속에서 이어가는 삶은 아름답다... 2017-05-24 0 2581
499 생명은 타지 않으면 썩는다 / 박문희 2017-05-24 0 2707
498 시는 신비한 언어로 시행사이에 사색적인 공간을 엮어줘야... 2017-05-24 0 2697
497 시의 제목이 작품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2017-05-23 0 3132
496 시인은 쓰고자 하는것을 마음속으로 먼저 그려보아라... 2017-05-23 0 3376
495 시를 랑송할때는 시인의 느낌과 청중의 공감을 터득해야... 2017-05-23 0 3956
494 "소리없는 아우성"으로 시와 씨름한 독일 시인 - 파울 첼란 2017-05-23 0 3089
493 허두남 우화시 고찰 / 최룡관 2017-05-23 0 2643
492 동시인들은 아이들을 위하여 랑송시 창작에 몰두해야... 2017-05-22 0 2136
491 시는 이미저리의 원형과 수사학적 기법을 잘 활용해야... 2017-05-22 0 2654
‹처음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