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작문써클선생님께] - 동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년 01월 07일 18시 42분  조회:2391  추천:0  작성자: 죽림

“동시”

시란 강하게 느낀 감동을 짧은 문장으로, 노래하듯이 쓴 글이다.
즉 어떤 순간 마음이 크게 움직여 그려낸 마음 속 풍경을 압축적으로 리듬감있게 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동시는 일반적 시의 특성을 가지면서 어린이가 중심에 있다. 

(1) 시의 특징
① 행과 연이 있다.
② 소리 시늉말, 모양 시늉말, 직유법,은유법,의인법 등 다양한 표현으로 생각과 느낌을 나타낸다.
③ 운율을 살려 쓴다. 글자수나 단어로 노래와 같은 느낌을 준다.

(2) 동시의 글감: 생활에서 체험한 직간접 경험과 모든 사물이 글감이 된다.

(3) 동시 쓰는 법
① 강한 감동이 일어난 한 순간의 느낌을 잡아 글감으로 정한다.
② 많은 것을 담으려 하지 말고 한 가지를 현미경으로 보듯 세밀하게 묘사한다. 
③의인법,은유법,직유법 등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면 문장의 멋이 살아나고
읽는 사람에게 자신의 느낌을 더 잘 전달할 수 있다.

(4) 표현 기법 
㉠직유법: 직접적으로 비유하는 기술로 어떤 대상과 공통성이 있는
다른 대상의 특성을 빌려와 표현하는 방법이다.
‘처럼,같이,듯이’라는 말을 쓴다.그러나 비유의 대상과 비유하려는
사물이 유사한 종류라면 문장의 묘미가 사라진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소나무 잎은 전나무 잎처럼 뾰족하다’는 문장의 경우 직유법 표현으로 적당하지 않다. 
㉡은유법: ‘처럼,같이,듯이’라는 말을 쓰지 않고 ‘A는 B다’는 형태로 쓴 문장이다.
단, A와 B는 속성상 공통점이 있어서 사람들이 납득할 수 있어야 한다. 
예문) 귤껍질은 향기 물총이다. 내 친구 지현이는 웃음 폭탄이다.
㉢의인법: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의 행동이나 말,감정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아파트의 바람개비가 바람과 함께 놀고 있다.(이은지)
*피뢰침은 천둥번개를 밥으로 먹고 산다.(김도선)
*동상들이 반짝거리며 일광욕을 즐기고 있다.(임지현)
㉣소리 흉내말, 모양 흉내말 쓰기 : 졸졸졸, 토도독 등 소리 흉내말과 흔들흔들, 폴짝폴짝 등 흉내말을 쓴다.
㉤ 도치법 : 주어, 목적어,서술어로 쓰는 문장 순서를 일부러 바꾸어 써서 강한 느낌을 준다. 
(예) 마침내 우리의 꿈을 이루었네. --> 마침내 이루었네, 우리의 꿈을.
③ 대화글을 사용할 수 있다. 
(예) “야, 이쪽으로 패스! 패스!.”
“됐어! 내가 더 잘 할 수 있어.”
④ 자신의 생각과 느낌도 쓴다. 
⑤ 다 쓴 후 조사나 꼭 필요하지 않는 말은 생략한다. 
⑥ 과장하거나 미화하지 않고 솔직하게 써야 한다. 
⑦ 설명하는 투의 말은 고쳐 쓴다.
⑧ 행과 연은 나누어 쓴다.

(5) 좋은 시란?
① 감동을 느끼게 하는 시다. 그렇다면 어떤 시가 감동을 줄까? 그
것은 거짓으로 꾸며쓰지 않고 자신의 솔직한 생활과 진솔한 감정을 표현한 시다.
② 쉽게 읽을 수 있고 자연스럽게 전개된 시다.
머릿속으로 짜맞춘 어려운 말,멋진 말로 꾸며쓴다면
자신의 감동도 전달되지 않고 읽는 사람도 지루할 것이다.
③ 자기만의 느낌을 자신의 언어로 쓴 시다.
누구에게나 사물을 보는 마음의 눈, 그것을 표현하는 자신의 말이 있다.
자신의 눈으로 보고 자신의 언어로 써야지 다른 사람의 느낌이나 생각,언어를 흉내내면 안 될 것이다.
그렇게 흉내낸 시는 마치 남의 옷을 빌려 입은 것처럼 본인도 불편하고 보는 사람도 이상할 것이다. 
④ 사랑의 마음으로 쓴 시다. 무엇이든 사랑하게 되면 관심있게 보고 깊은 곳까지 살피게 된다.
바로 마음의 눈을 뜨는 것이다. 마음의 눈은 몸의 눈이 볼 수 없는 것도 본다.
두터운 얼음장 밑으로 생명이 살아 있는 것을 느끼고,
딱딱한 나무줄기 안에 신선한 수액이 힘차게 전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음의 눈을 뜨지 못한 사람은 좋은 시를 쓸 수 없다.

 

[자료:한우리북]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7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새벽이 올 때까지 2018-07-25 0 3907
1169 윤동주 시집 원 제목 "병원"이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로... 2018-07-25 0 3695
1168 윤동주와 정병욱 가옥 2018-07-24 0 2833
1167 "붓끝을 따라온 귀뚜라미는 홀로의 감방에서도 울어준다"... 2018-07-24 0 3374
1166 윤동주와 이양하 2018-07-24 0 3102
1165 사람이 1년에 800만번 숨을 쉬는데... 2018-07-24 0 2903
116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무서운 시간 2018-07-24 0 3633
116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팔복 2018-07-23 0 6229
116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위로 2018-07-22 0 3224
116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장미 병들어 2018-07-19 0 3046
1160 윤동주와 윤석중 2018-07-18 0 4353
115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자화상 2018-07-18 0 6055
1158 윤동주 동생 윤일주 2018-07-18 0 3222
1157 우리는 민족혼을 절대 잊어서는 안된다... 2018-07-18 0 2603
1156 "윤동주 수업 늘이자"... 2018-07-17 0 3348
115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아우의 인상화 2018-07-17 0 4694
115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새로운 길 2018-07-17 0 9739
115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 2018-07-16 0 4850
1152 "리별은 인생의 보석이다"... 2018-07-15 0 2708
1151 "강은 분단과 전쟁의 상처를 말끔히 씻어낸다"... 2018-07-15 0 2662
115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양지쪽 2018-07-15 0 4666
1149 윤동주와 동시인 강소천 2018-07-15 0 3666
1148 [시시비비] - 력사는 력사이다... "선구자의 노래"의 내막?(6)... 2018-07-13 0 4105
1147 송몽규는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자였다... 2018-07-13 0 3708
114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이런 날 2018-07-13 0 3574
1145 윤동주와 "4총사" 2018-07-13 0 3391
1144 "가슴속에 어머니라는 산(山) 하나 들고 있다"... 2018-07-12 0 2591
1143 "나는 어머니의 가슴에 박힌 큰 못이다"... 2018-07-12 0 2681
1142 윤동주 시작품에서 나오는 "레그혼" 2018-07-12 0 3333
114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닭 1 2018-07-12 0 2530
114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슴 1, 2, 3 2018-07-11 0 3165
1139 윤동주와 숭실학교 2018-07-11 0 4005
1138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모란봉 2018-07-10 0 3633
1137 영원하다... 영원할... 영원하리... 2018-07-10 0 3825
113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모란봉에서 2018-07-09 0 2968
1135 "저 바다 건너 배고픈 아이들 배불리는 빵 한덩이 되고싶다"... 2018-07-09 0 2495
1134 윤동주와 문익환 2018-07-09 0 2815
113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거리에서 2018-07-09 0 4547
1132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륙첩방(다다미방)" 2018-07-08 0 4333
1131 윤동주와 정지용, 경향신문 2018-07-08 0 2706
‹처음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