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8월 2025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모란봉
2018년 07월 10일 00시 27분  조회:3873  추천:0  작성자: 죽림
 
성격 봉우리
유형 지명
높이 96m
소재지 평양시 기림리
분야 지리/자연지리

요약 모란봉, 평양시 기림리금수산(錦繡山)에 있는 봉우리.

개설

모란봉의 높이는 96m이다. 절벽을 이루고 있는 모란봉 아래 대동강 물 위에는 유명한 능라도(綾羅島)라는 하중도(河中島)가 있어 좋은 대조를 이룬다.

명칭 유래

원래 금수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최승대(最勝臺)의 생김새가 마치 피어나는 모란꽃 같다 하여 함박뫼, 모란봉이라 하던 것이 점차 산 전체의 이름으로 되었다.

자연환경

모란봉에는 소나무, 전나무, 잣나무, 삼엽송, 향나무 등 20여종의 침엽수들과 피나무, 참나무, 자귀나무, 살구나무 등 70여종의 활엽수들이 숲을 이루고 있다. 특히 그 가운데에는 수령이 200년인 기이한 형태의 청류회화나무가 자라고 있다. 모란봉에는 철따라 70여종의 새들이 날아든다. 꾀꼬리, 밀화부리, 개구마리 등과 추운 북쪽에서 살다 가을이면 찾아와 겨울을 나는 콩새, 양지니 등이 관찰된다.

형성 및 변천

모란봉의 청류벽 부근에는 모란봉나무화석(규화목)(천연기념물 제465호)이 있는데, 이것은 약 1억8,000만∼1억4,000만년전 이 일대의 호숫가에서 자라던 나무가 지각운동에 의해 땅속에 묻힘으로써 지하수 속에 있던 규소성분과 흙이 나무세포의 공간에 들어가 굳어져서 형성된 것이다. 주변에 나무화석그루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이 지대에 키 큰 나무들이 수림을 이루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모란봉나무화석은 지층의 지질시대와 지구의 기후변동을 비롯한 고지리적 환경과 고생물연구에서 의의가 크므로, 1989년 6월에 천연기념물 제 465호로 지정되어 보호·관리되고 있다.

현황

예로부터 천하제일강산으로 이름이 높아 ‘평양팔경’, ‘평양형승’의 거의 절반이 모란봉에 집중되어 있었다. 고구려시기 이래의 성문, 누정 등 고적들이 있다.

모란봉 중턱에 있는 을밀대(乙密臺)는 북한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사허정(四虛亭)이 언덕 위에 세워져 있다.

을밀대와 대조되는 언덕으로 모란대(牡丹臺)가 있으며, 이 언덕 위에는 최승대(最勝臺)라고 하는 봉화대가 있다. 모란봉 밑 절벽에는 가장 오래된 누각으로 알려진 부벽루(浮碧樓)가 있다. 그리고 을밀대 서쪽 언덕 위에는 기자릉(箕子陵)이 있고, 모란대 밑에는 고구려의 광개토왕이 건립하였다는 영명사(永明寺)가 있다.

이밖에도 가장 전망이 좋은 경승지인 청류정(淸流亭)과 칠성문(七星門)·현무문(玄武門)·전금문(轉錦門) 등의 명승고적이 있다. 이 모란봉은 평양을 장식하는 공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반만년역사의 애화가 담긴 유서깊은 명소이기도 하다.

모란봉 기슭에 위치한 ‘김일성경기장’은 평양공설운동장을 1969년에 개축하면서 모란봉경기장으로 부르다가 1982년 4월 11일에 또다시 증축, 개장하면서 김일성 출생 70돌을 기념하여, 김일성경기장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규모는 연건축면적 4만 6,000㎡, 경기장바닥면적 2만 300㎡, 인공잔디면적 9,375㎡, 관람석 면적 1만 2,133㎡, 관람석 계단수 43계단, 수용인원 10만명 정도이다. 30m 폭의 차양이 설치된 관람석과 각종 체육시설을 비롯하여 TV송신시설, 동시통역시설, 야간조명 등의 설비를 갖추고 있다. 축구, 육상경기와 집단체조 뿐만 아니라 각종 군중대회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
 

모란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좌표북위 39° 02′ 35.2″ 동경 125° 45′ 43.9″

모란봉(牡丹峰)

을밀대에서 본 모란봉과 대동강 전경
높이 95 m
위치
위치 평양직할시

모란봉(牡丹峰, Moranbong)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의 중심지 북쪽 모란봉구역에 있는 작은 언덕이며, 정상에는 최승대가 있다. 전체의 모습이 모란꽃과 같다고 하여 모란봉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주변 지역을 합쳐서 금수산이라고 부른다. 동쪽으로 대동강과 접하고, 남.북.서쪽에는 골짜기가 있다. 평양에서도 경관이 훌륭하고, 조선팔경이나 평양팔경의 하나로 불린다.

고구려 시대 이래 평양성의 최북단을 지키는 요새였는데, 지금도 성벽이나 누각이 남아있다. 임진왜란 당시에 일본군에 의해 누각과 절이 파괴됐다. 청일 전쟁 때는 청나라군이 지켰던 모란대 요새이며, 1894년 9월 15일부터 일본군과의 사이에서 격전지가 되었고, 여기가 함락되자 이어서 평양성이 함락되었다.

구릉지나 주위 일대는 현재 공원이 조성되었고, 유원지가 정비되고 있다. 금수산태양궁전을밀대 등이 있다. 또, 공원 주위는 문화 시설이지만 개선문, 김일성경기장등 기념물도 많이 있다.

성곽.누각 등[편집]

갤러리[편집]

공원.문화.체육시설[편집]

기념물[편집]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7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새벽이 올 때까지 2018-07-25 0 4170
1169 윤동주 시집 원 제목 "병원"이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로... 2018-07-25 0 3927
1168 윤동주와 정병욱 가옥 2018-07-24 0 3089
1167 "붓끝을 따라온 귀뚜라미는 홀로의 감방에서도 울어준다"... 2018-07-24 0 3617
1166 윤동주와 이양하 2018-07-24 0 3295
1165 사람이 1년에 800만번 숨을 쉬는데... 2018-07-24 0 3109
116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무서운 시간 2018-07-24 0 3900
116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팔복 2018-07-23 0 6409
116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위로 2018-07-22 0 3375
116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장미 병들어 2018-07-19 0 3165
1160 윤동주와 윤석중 2018-07-18 0 4609
115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자화상 2018-07-18 0 6284
1158 윤동주 동생 윤일주 2018-07-18 0 3536
1157 우리는 민족혼을 절대 잊어서는 안된다... 2018-07-18 0 2824
1156 "윤동주 수업 늘이자"... 2018-07-17 0 3551
115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아우의 인상화 2018-07-17 0 4970
115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새로운 길 2018-07-17 0 9992
115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 2018-07-16 0 5083
1152 "리별은 인생의 보석이다"... 2018-07-15 0 2892
1151 "강은 분단과 전쟁의 상처를 말끔히 씻어낸다"... 2018-07-15 0 2885
115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양지쪽 2018-07-15 0 4922
1149 윤동주와 동시인 강소천 2018-07-15 0 3858
1148 [시시비비] - 력사는 력사이다... "선구자의 노래"의 내막?(6)... 2018-07-13 0 4301
1147 송몽규는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자였다... 2018-07-13 0 3925
114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이런 날 2018-07-13 0 3815
1145 윤동주와 "4총사" 2018-07-13 0 3647
1144 "가슴속에 어머니라는 산(山) 하나 들고 있다"... 2018-07-12 0 2762
1143 "나는 어머니의 가슴에 박힌 큰 못이다"... 2018-07-12 0 2893
1142 윤동주 시작품에서 나오는 "레그혼" 2018-07-12 0 3572
114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닭 1 2018-07-12 0 2723
114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슴 1, 2, 3 2018-07-11 0 3348
1139 윤동주와 숭실학교 2018-07-11 0 4330
1138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모란봉 2018-07-10 0 3873
1137 영원하다... 영원할... 영원하리... 2018-07-10 0 4061
113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모란봉에서 2018-07-09 0 3159
1135 "저 바다 건너 배고픈 아이들 배불리는 빵 한덩이 되고싶다"... 2018-07-09 0 2708
1134 윤동주와 문익환 2018-07-09 0 3002
113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거리에서 2018-07-09 0 4740
1132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륙첩방(다다미방)" 2018-07-08 0 4638
1131 윤동주와 정지용, 경향신문 2018-07-08 0 2884
‹처음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