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거리에서
2018년 07월 09일 00시 02분  조회:4542  추천:0  작성자: 죽림

 

윤동주 /거리에서

 

달밤의 거리

광풍이 휘날리는

북국의 거리

도시의 진주

전등 밑을 헤엄치는

조그만 인어 나,

달과 전등에 비쳐

한 몸에 둘 셋의 그림자,

커졌다 작아졌다.

 

괴롬의 거리

회색빛 밤거리를

걷고 있는 이 마음

선풍(旋風)이 일고 있네

외로우면서도

한 갈피 두 갈피

피어나는 마음의 그림자,

푸른 공상이

높아졌다 낮아졌다.

 

이 시는 괴로운 회색빛 밤거리를 걸으면서 화자의 마음에 있는 희망이 높아졌다 낮아졌다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시의 전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달밤에 광풍이 휘날리는 추운 북국의 거리에 있는 도시의 전등 밑을 걷는다. 달과 전등에 비쳐 내 몸은 둘 셋의 그림자를 가진다.
그림자는 커졌다 작아졌다 한다. 괴로운 회색빛 밤거리를 걷고 있는 이 마음에 회오리바람이 불고 있다. 안정이 되지 않는다.
외롭다. 그러나 혼란한 마음속에 푸른 공상이 높아졌다 낮아졌다 피어난다.

 

 

 

이 시를 구절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시는 2연으로 이루어져 있고 1연에는 흔들리는 마음을 2연에는 심하게 흔들리는 마음속에 희망이 생긴다는 내용이다.

 

<거리에서>는 밤거리를 말한다. 시대적으로 보면 일제가 강점한 암울한 상황을 의미한다.

 

‘달밤의 거리 / 광풍이 휘날리는 / 북국의 거리 / 도시의 진주 / 전등 밑을 헤엄치는 / 조그만 인어 나,
/ 달과 전등에 비쳐 / 한 몸에 둘 셋의 그림자, / 커졌다 작아졌다.’는 광풍이 휘날리는 달이 뜬 추운 거리에 있는
전등 밑을 지나가는데 달과 전등에 비쳐서 그림자가 둘 또는 셋이 생기고 커졌다가 작아졌다가 한다는 말이다.
‘밤’은 절망적인 상황을 말한다. ‘광풍’은 종잡을 수 없는 바람으로 시련을 의미한다.
‘북국’은 겨울의 날씨가 지배하는 곳으로 역시 시련이 오래 지속되는 것을 나타내는 관습적인 상징이다.
그러므로 ‘달밤의 거리 / 광풍이 휘날리는 / 북국의 거리’는 절망이 오래도록 지속되는 암울한 시간을 말하며 역사적으로는
일제강점으로 인하여 절망적인 상황에 있는 상태를 말한다. ‘도시의 진주’는 ‘전등’을 비유한 말이다.
당시의 전등은 모두 알처럼 생겨서 둥그런 ‘진주’에 비유한 것이다. ‘헤엄치는’은 ‘그림자, / 커졌다 작아졌다.’는
모습이 헤엄치는 것과 비슷한 모습이라 생각해서 표현한 것이다. ‘조그만 인어 나’는 화자가 헤엄치는 인어 같다고 말한 것이다.
‘둘 셋의 그림자’에서 ‘그림자’는 시에서 마음을 말한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생각으로 혼란한 마음의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괴롬의 거리 / 회색빛 밤거리를 / 걷고 있는 이 마음 / 선풍(旋風)이 일고 있네 / 외로우면서도 / 한 갈피 두 갈피 /
피어나는 마음의 그림자, / 푸른 공상이 / 높아졌다 낮아졌다.’는 희망이 보이지 않는 괴로운 거리를 걷고 있는
마음에 회오리바람이 일어나서 혼란스럽고 외로우나 푸른 공상을 하나 둘 생각하니 희망이 높았다 낮아졌다한다는 말이다.
‘괴롬의 거리 / 회색빛 밤거리’는 괴롭기만 하고 희망이 보이지 않는 암울한 시대상황을 의미하는 것이다.
‘선풍(旋風)이 일고 있네’에서 ‘선풍’은 ‘회오리바람’이다. 이는 마음이 몹시 괴롭고 혼란스러움을 말한다.
‘외로우면서도’는 화자가 느끼는 감정이 외롭다는 것을 말한다. ‘한 갈피 두 갈피 / 피어나는 마음의 그림자’는
화자가 절망 속에서 자그마하지만 하나 둘 ‘푸른 공상’인 희망을 피우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비로 이 ‘푸른 공상’이 한결같이 유지 되지 않고 ‘ 높아졌다 낮아졌다.’하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전한성




===============

일단 지난 번에 샘이 설명한 대로 시를 몇 번 읽으면서 그림을 한 장 그려 보자고. 처음엔 많이 번거롭지만 익숙해지면 Literature 과정의 final exam paper1을 풀거나 IOC를 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야.

 그림에 반드시 들어가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그것들을 적절하게 배치해 보자.

 

 - 화자(윤동주)

 - 달

 - 전등

 - 그림자

 - 도시

 

 이 정도 되겠지.

 각자 자기가 그린 그림을 확인해 보자고. 그림에 어색한 부분이 없다면 잘 된 거야. 그렇지 않다면 처음부터 다시 그려 보자고.

 샘이 그린 그림은 이래.

 그렇다면 이제 이 그림을 바탕으로 시를 상세하게 해석해 보자고.

 아래 그림은 해석을 위해 만든 레이아웃이야.

 

 

 

 

 시어에 대한 상세한 분석은 이미 많이 되어 있으니, 샘은 포괄적으로만 분석할 거야.

 

 이 시는 19살의 윤동주 씨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어떤 고민을 하고 살았는지를 보여 준다.

 

 윤동주 씨는 북간도에서 태어난 조선인이야. 그런데 이미 조선이란 나라는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버렸지. 그렇다면 윤동주 씨는 조선인인가, 중국인인가, 일본인인가?

 바로 이 정체성들이 '그림자'로 나타나.(아직은 '거울 속의 세계'가 완성되지 않았어.) 몸은 하나인데 그림자는 서너 개야게다가 그것들이 각자 다른 방향을 가리켜. 마치 '넌 어느 방향으로 갈래?'라고 묻는 것 같지.

 

 저 시대에는 주변 환경이 윤동주 씨를 가만 놔두지 않았겠지.  누구는 독립운동을 해야 한다고 할 거고, 누구는 대세에 따르자고 할 거고...

 이게 시 속에서 '광풍'으로 나타나. 윤동주 씨를 떠 민다고. 그래서 그는 집을 떠나 거리를 방황하게 되었을 거고, 북간도의 밤거리는 춥고 외로워. 다른 사람들은 이미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서 잘 적응해 가고 있는데, 그 혼자 아직 방황하고 있어.

 

 

 하지만 당시의 윤동주 씨는 아직 이런 문제들을 감당할 수 있을 만큼 정신적으로 성숙하지 못했던 것 같아. 그래서 '조그만 인어 나'라고 말하지. 이건 '현실의 문제를 제게 묻지 마세요!'란 외침이기도 해. 인어는 상상 속의 동물이잖아.

 아무튼 그는 자신의 놀이(아마도 시 쓰기)에 몰입해서 현실을 도피하려고 한 것 같아. 하지만 전등이란 것이 집처럼 항구적인 안식처는 될 수 없지. 조만간 그는 또 다시 어둠 속으로 쫓겨나게 될 거야. 그렇게 2연이 시작 돼.

 

 2연에 가면 양상이 조금 바뀌는데, '광풍'이 '선풍'으로 변해. 선풍은 회오리바람의 다른 이름이거든. 회오리바람은 제자리에서 맴도는 바람이지. 이제 윤동주씨는 어느 방향으로든 나아가야겠다고 생각하지만, 선풍에 갇혀서 제자리를 빙글빙글 돌고 있어.('선풍'은 윤동주 씨의 시에서 자주 나오니까 꼭 기억해 두자.)

 

 1연에서는 그림자가 커졌다 작아졌다 했는데, 2연에서는 푸른 공상이 높아졌다 낮아졌다 해. 즉, 윤동주 씨가 어떤 '이상'를 가지고 살아갈 것인지를 고민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겠지. 이렇게 보면 그가 1연에 비해서는 조금 더 성숙했다고 볼 수 있겠어.

 

 이렇게 19살의 윤동주 씨는 자신의 정체성과 이상에 대해 고민하고 있어. 그런데 아직은 그 고민이 버거운지 그냥 현실을 도피하고 싶은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90 "자그마한 세계" 2018-06-14 0 2545
108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공상 2018-06-14 0 5121
1088 "비가 온다야 개미야 대문 걸어 잠궈라"... 2018-06-13 0 2597
108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창공 2018-06-12 0 4647
1086 "꽃씨가 되여봄은..." 2018-06-12 0 2386
108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래일은 없다 2018-06-11 0 3525
1084 "우리는 '바다'에 관한 시를 쓸줄 모르외다"... 2018-06-11 0 2633
108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삶과 죽음 2018-06-11 1 9091
108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초한대 2018-06-10 0 5357
1081 "할머니가 흘러간 그 시간의 탑이지요"... 2018-06-09 0 2728
1080 중국인민해방군 군가, 조선인민군행진곡 작곡가 - 정률성 2018-06-08 0 5369
1079 동시는 개구쟁이 애들처럼 써라... 2018-06-07 0 2617
1078 "너 이름 뭐니...." 2018-06-07 0 2704
1077 별, 별, 별... 2018-06-06 0 2573
1076 동시창작 다양화를 두고 / 김만석 2018-06-03 0 2749
1075 "삶의 꽃도 무릎을 꿇어야 보인다"... 2018-06-02 0 2553
1074 "나무들이 작은 의자를 참 많이도 만든다"... 2018-06-02 0 2605
1073 "엄마와 아빠는 늘 바쁜 바다랍니다" 2018-05-31 0 2717
1072 "쌍둥밤은 엄마하고 냠냠"... 2018-05-30 0 2495
1071 "소나무는 꿈을 푸르게 푸르게 꾸고 있다"... 2018-05-30 0 2914
1070 "햇살 한 줄기 들길로 산책 나왔다"... 2018-05-28 0 2569
1069 "조선의 참새는 짹짹 운다" 2018-05-26 0 2556
1068 천재시인 李箱의 련작시 "오감도 제15호" 뮤지컬로 태여나다 2018-05-24 0 2860
1067 맹자 명언 2018-05-22 0 4087
1066 노자 도덕경 원문 . 해설 2018-05-22 0 5103
1065 노자(老子) 도덕경 명언 명담 2018-05-22 0 3779
1064 노자 도덕경 명언 모음 2018-05-22 0 6646
1063 중국 노나라 유교 시조 사상가 교육자 - 공구(공자) 2018-05-22 0 7009
1062 중국 춘추시대 현자 - 노담(노자) 2018-05-22 0 5042
1061 "돌멩이를 아무데나 던지지 마세요"... 2018-05-22 0 2550
1060 김철호 / 권혁률 2018-05-16 0 2835
1059 미국 녀류화가 - 그랜드마 모제스 2018-05-04 0 5167
1058 청나라 화가, 서예가 - 금농 2018-05-04 0 4665
1057 청나라 가장 유명한 양주팔괴 서예가들 2018-05-04 0 2800
1056 "사랑의 깊이는 지금은 모릅니다"... 2018-05-04 0 2606
1055 미국 시인 - 칼릴 지브란 2018-05-04 0 4531
1054 박문희 시를 말하다(2) / 최룡관 2018-05-02 0 2971
1053 박문희 시를 말해보다 / 김룡운 2018-05-02 0 3204
1052 "산노루" 와 "숫자는 시보다도 정직한것이었다"... 2018-04-26 0 2823
1051 축구세계, 시인세계... 2018-04-25 0 3381
‹처음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